인천항·평택항·대산항 등 서해안 주요 항만을 거쳐 군산항과 관련된 일을 했던 어느 공무원의 말이 생각난다.
그 공무원은 군산항이 침체되는 이유로 항만발전을 위한 민(民)·관(官)·정(政)의 움직임이 다른 항만에 비해 매우 약하다는 점을 들었다.
서해안 주요 항만에서는 관련 현안을 해결키 위해 민(民)이 힘을 합하고, 이를 관(官)에서 뒷받침하며 정(政)이 이끌고 나아가는 동력이 매우 강력하다고 강조했다.
항만 관련 업체들이 상호 이해관계를 떠나 현장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안을 모색해 제시하면 행정기관과 지역 국회의원들은 문제를 풀기 위해 ‘하나’가 돼 백방으로 노력하는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고 실토했다.
그는 군산항에서는 민관정이 항만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모습을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점을 안타까와했다. 그리고 다른 항만에 비해 상대적 위상 하락의 원인을 여기에서 찾았다.
사실 그동안 군산항에서 민관정의 협조체제는 형식적으로 미약했고 이는 나름대로의 문제를 안고 있는데서 비롯됐다.
민(民)의 경우 상당수가 이익을 먼저 챙기기 위해 갈등을 유발하면서 보이지 않는 쌈박질을 한 때가 적지 않았다.
군산항이라는 협소한 울타리안에 놓여진 자그마한 빵을 놓고 이전투구(泥田鬪狗)의 양상을 보였다.
군산항의 전체 발전을 통한 상호 이익 도모는 내심 안중에도 없었다.
현안이 있어도 해결을 위해 한 목소리를 내는 것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였다.
관(官)도 다른 지역과는 달리 ’ 국가사무’라며 항만발전에 별다른 열정과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군산시와 전북도는 항만관련직제를 두고 있지만 전문성이 있는 공무원이 거의 없다.
평택항 등 다른 주요 항만의 경우 해수부 직원보다 뛰어날 정도로 지자체 공무원들이 항만에 대한 전문성으로 무장돼 있다고 한다.
반면 전북도와 군산시는 항만에 대한 전문성을 고려치 않고 인사를 단행한다. 그리고 2년 정도면 자리 이동을 한다.
항만에 대해 어렴풋이 알 정도면 다른 부서로 발령이 난다. 그래서 항만관련직제는 공무원의 승진과 순환인사를 위해 만들어 놓은 것이라는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
항만과장자리는 전문가가 맡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끊임없이 제시됐다. 하지만 난공불락(難攻不落)인 공무원 세계의 벽을 넘지 못했다.
그러니 항만발전을 위한 기획행정은 꿈도 꾸지 못한다.
정(政)도 마찬가지다.
선출직의 자치단체장과 의원들은 선거때만 되면‘서해안의 중심항만’, ‘동북아의 물류허브’등을 외치며 마치 군산항 발전의 선구자처럼 행세를 한다.
‘도내의 유일한 군산항이 살아야 전북 경제가 산다’는 입에 발린 소리만 토해낸다.
그러나 그 때뿐이다. 선거가 끝나고 당선만 되면 항만 발전은 뒷전이다.
당선후 항만발전을 위해 동분서주하면서 항만을 찾아 고민하는 정치인을 거의 본 일이 없다. 그저 민원이나 듣고 해결에 나서면 그만이다.
민관정이 각자 지니고 있는 문제를 털어내고 하나가 되지 않는다면 12위까지 밀려난 군산항의 위상은 어디까지 추락할 지 모른다.
항만과 지역 발전을 위해 민관정(民官政)이 하나가 돼 “으샤, 으샤~”하는 모습을 보고싶다. /안봉호 선임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