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비롯해 지역 내 기관 및 시민단체... 새만금청 향해 공세 퍼부어
"양충모 청장이 나서 의견 청취하고 화해와 소통 통해 새로운 도약 이뤄야”
새만금 개발 정책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들불처럼 확산하는 가운데 새만금개발청(이하 새만금청)이 무대응으로 일관하면서 갈등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현 사태의 해결을 위해 새만금청의 수장인 양충모 청장이 나서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화해와 소통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이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군산시와 지역정치권을 비롯해 지역 내 기관 및 시민단체들은 새만금청의 ‘새만금 정책 독단 추진’에 맞서 날선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6일 강임준 군시시장과 신영대 국회의원의 성명을 시작으로 17일에는 국가기관인 새만금청사 앞에서 군산시와 시민단체가 집회를 벌이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데 이어 지역정치권은 현재까지도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전북지역 각계 대표들로 구성된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 민관협의회 민간위원들까지 나서 “새만금청의 총체적인 관리능력 부재가 재생에너지 사업 전체를 위기에 빠뜨리고 있다”며 “새만금청의 일방적 태양광 사업 추진 중단”을 촉구했다.
또한 지난 25일에는 9개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 협력 조직인 제2기 새만금 발전협의회도 성명을 내고 “새만금청의 불공정한 사업추진 철회 및 새로운 민관협의회 구성”을 주장했다.
같은 날 군산시수협을 비롯해 군산지역 어업인들은 새만금청사 앞에서 궐기대회를 열고 정부가 약속한 “수산용지 조성”을 요구하며 새만금청을 압박했다.
이처럼 지자체와 지역정치권을 비롯해 기관 및 시민단체가 “새만금청의 독단적 정책 중단 및 수정”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새만금청은 여전히 소통의 문을 닫은 채 사태를 악화시키는 모양새다.
김광철 군산시수협조합장은 “새만금청의 수장이 나서 해명을 해도 모자란 상황에서 각 사안에 대한 반박문만 내놓으면서 사태를 더 악화시키고 있다”면서 “새만금청은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청장이 직접 나서 지역민들이 수용할 수 있는 정책과 합리적 대안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김원태 군산경실련대표는 “현 상황이 지속되면 새만금청과 지자체를 비롯한 시민단체 간 갈등이 극으로 치달아 자칫 새만금 사업이 지연될 우려가 있다”며 “새만금청은 인근 지자체 및 지역민들의 의견을 청취, 상생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새만금 내부 개발을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