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군농업기술센터(소장 김종구)는 중만생종 벼 출수기가 가까워지면서 관내 벼 잎도열병과 잎집무늬마름병 등 각 종 병해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적기방제 지도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벼 도열병은 발아에서부터 수확 직전까지 잎, 줄기, 이삭 등 생육기 전반에 걸쳐 발생하며, 진단이 쉬운 병이지만, 방제가 지연되면 출수기 전후 이삭이나, 이삭가지로 전염되어 수량이 크게 감소하는 요방제 병해이다.
잎집무늬마름병은 질소비료 과용, 밀파 등으로 통풍이 불량하여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면 발병이 많아지고, 볏대가 물러져 도복되며 수량감소로 이어진다.
이러한 증상은 특히 2모작 논에서 더 심한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작년 발생한 도열병포자의 월동량이 많았으며, 분얼을 마친 2모작 벼에서 비료 효과가 증폭되면서 고온다습한 기상조건과 만나 병 발생을 촉발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특히 부안지역의 주품종인 신동진, 동진찰은 도열병에 약하여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병해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전 방제가 가장 중요하며, 발병 초기에 적용약제로 철저히 방제할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