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이 서울 등 다른 대도시와 비교해 ATM(현금자동인출기) 설치 대수의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관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인천남동을)은 한국은행을 통해 받은 ‘광역시도별 ATM 설치현황’에 따르면 2020년말 기준으로 단위면적당(1㎢) ATM 설치 대수가 전북이 0.5대로 강원(0.3대), 전남·경북(0.4대)에 이어 가장 적었다.
반면에 서울은 단위면적당 ATM 설치 대수가 34.9대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부산 9.1대, 광주 6.6대, 대전 6.1대, 대구 5.9대, 인천 5.6대 등으로 지역 간 격차가 여전히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과 비교해 지난 2020년 전국적으로 1769대의 ATM이 사라진 가운데 전북 등 일부 광역시도에서는 소폭 늘어나기도 했다.
전북은 지난해 ATM 설치 대수가 12대 증가했는데 금융기관 점내 ATM이 47대 증가했다.
그러나 금융기관 점외 ATM 설치 대수는 7대 줄었고 편의점 등 부가통신사업자(VAN사)가 운영하는 ATM 설치 대수 역시 28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 의원은 우리나라의 ATM 보급률은 해외 주요국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수준이지만 금융기관 및 VAN사 간 공조 없이 ATM 운영 전략이 지속될 경우 지역별로 과잉 또는 과소 공급되는 등 불균형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금융당국이 포용금융 관점에서 ATM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을 마련해 지역 간의 현금 접근권 격차를 줄여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한국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 및 VAN사 등과 긴밀히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