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군산서 작업 중 사고 잇따라⋯재발 방지책 미흡
안전요원 강화 및 책임 있는 감독 등 대책 시급
군산을 비롯한 전북지역 공공비축미 수매현장이 ‘안전 사각지대’로 전락하고 있다.
특히 수매현장 곳곳에서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으면서 안전요원 배치 등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군산시에 따르면 지난 3일부터 군산지역 내 17곳 수매 현장에서 ‘2022년산 공공비축미’를 매입하고 있다.
올해 매입 물량은 지난해보다 33% 증가한 36만9714포대(건조벼 기준)로, 내달 16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그러나 문제는 공공비축미 수매현장에서 각종 사고가 발생하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는 것.
실제 지난 16일 옥구읍 수매현장에서 한 직원이 트럭 적재함에 실려 있는 톤백 포대를 지게차에 걸기 위해 올라가 작업하던 중 트럭이 급출발하면서 화물칸 밖으로 추락, 머리와 다리에 부상을 입었다.
하루 앞선 지난 15일 개정면 수매 현장에서도 지게차가 후진하다 근로자와 충돌해 근로자의 발목이 골절되는 사고가 났다.
군산을 비롯한 도내 공공비축미 수매현장의 경우, 수매하려는 농업인과 근로자, 각종 운반 차량과 설비 등으로 혼잡을 이루고 있는데다 좁은 공간에 지게차 등도 수시로 오가면서 사고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수매 현장이 워낙 바쁘게 움직이다보니 안전요원 없이 안전 수칙이나 규정 등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에 군산시의 경우 농업인들이 오전‧오후로 나눠 수매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읍‧면 직원을 배치하고 있지만 안전사고를 예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처럼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데도 현장의 사고 재발 방지책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수매 현장에는 해당 지역 읍‧면 직원 1~2명을 제외한 안전관리 요원이 따로 없을뿐더러 지게차 등 운전자가 안전 운행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시스템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창고주나 운송업체, 농협 등 관계기관에서도 현장 및 안전관리에 소홀히 대응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동원 군산경실련 공동대표는 “공공비축미 수매현장이 안전사고에 노출되고 있는 만큼 지자체는 물론 관련자들이 철저한 안전관리는 물론 보다 책임있는 지도‧감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한 관계자 역시 “지게차를 이용해 톤백을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주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최소한의 안전요원 인력배치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군산시 관계자는 “수매 전에 안전사고 예방수칙 및 홍보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연이어 발생해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이번을 계기로 다시 한번 안전대책을 강화하고, 관련 기관들과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