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과 주민 함께하며 전통놀이 즐겨
“우리 조상들은 수릿날, 천중절, 오월절, 추천절이라 불리는 단오가 되면 그네를 뛰고 창포물에 머리를 감으며 재액을 방지하고 풍요를 기원했으며, 쑥떡, 수리취떡, 망개떡, 약초떡, 밀가루지짐 등을 만들어 먹으며 전통놀이를 즐겼습니다.”
고령주민들의 기억 속에도 거의 사라져 가는 추세인 단옷날 행사가 지난 22일(음력 5월 5일) 진안 부귀면 거석리 소재 다목적회관에서 주민과 학생이 함께한 가운데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렸다. 행사명은 ‘제2회 부귀단오제’.
이날 단오제는 부귀중(교장 이인엽), 부귀초(교장 정성우), 장승초(교장 최금희) 등 부귀면 소재 3개 초·중교 재학생과 교직원을 비롯해 장현우 면장, 김영배 조합장, 백은숙 부귀작은도서관장 등 주민 다수가 시간을 같이했다.
이날 행사는 어울림학교(부귀중·부귀초·장승초)와 진안군마을축제위원회(위원장 최인석)가 주최하고 부귀작은도서관, 부귀면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박원순)에서 함께 주관했다.
이날 행사에선 주민자치 풍물패 공연, 단오제사, 씨름대회, 널뛰기 등 전통 행사와 놀이 한마당이 펼쳐졌다. 체험부수 안에선 딱지만들기, 제기만들기, 수리떡 만들기, 단오부채만들기, 장명루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지도교사가 배치돼 특색 있는 체험이 펼쳐졌으며 가장 인기를 끌었던 것은 재액을 방지해 준다는 의미에서 단옷날 행하던 ‘창포머리 감기’였다.
이번 행사는 학교와 마을이 연계된 교육과정을 통해 애향심 고취는 물론 지역사회의 연대의식을 강화하고 전통문화의 맥을 잇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마련됐다.
박원순 주민자치위원장은 “예전엔 주요 명절로 꼽혔던 단옷날이 요즘엔 청소년은 물론 어른들의 관심에서도 멀어졌다”며 “부귀단오제를 통해 전통문화의 맥이 이어지고 학생과 지역민이 하나 되기를 고대한다”고 밝혔다.
백은숙 부귀작은도서관장은 “저출산 고령화의 심화로 학생 수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지역소멸위기와 함께 학교의 존폐위기가 닥치고 있다”며 “이 같은 상황에서 진행되는 단오제는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