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01:39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학·출판
보도자료

전북문인협회, '전북문단 영인본', '전북 문학잡지 창간호 영인본' 발간

1987년 첫 걸음 '전북문단' 역사, 1966년부터 출간된 도내 문예지 '한 자리'

image
전북문단 영인본 표지/사진=전북문인협회 제공

전북문인협회는 <전북문단 영인본>과 <전북 문학잡지 창간호 연인본>을 발간했다.

먼저 <전북문단 영인본>은 1987년 첫걸음을 한 ‘전북문단’ 창간호부터 최근 99호에 이르기까지 멈추지 않았던 전북 문단의 역사를 한눈에 보여 준다.

‘전북문단’은 도내 문인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기술을 연마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는 종합문예지다. 독자와 작가 모두에게 충실한 길잡이 역할을 해오며 활기차고 아름다운 풍토를 이룬 작가 목소리와 경험이 담겼다. 이처럼 전북문화의 결정체이자 역사적 기록으로 지역 문학의 지형을 형성하고 새로운 인재 개발과 전통적 글쓰기의 보전에 촉매 역할을 하고 있다.

image
전북 문학잡지 창간호 영인본 표지/사진=전북문인협회 제공

<전북 문학잡지 창간호 영인본>은 1966년부터 도내에서 출간된 문예지를 한곳에 모은 책으로, 전북 문학의 힘에 대한 증거를 총망라한 것으로 읽힌다. 문예지는 작가들의 재능과 이에 대한 독자들이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매개체일 뿐만 아니라, 토론의 장을 제공하는 문학 문화의 근간을 지닌 지침서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김영 전북문인협회장은 “전북 문학의 자취를 더듬으며 글의 힘이 한계를 모르는 상상과 창의성의 세계로 이동하는 걸 체험하게 될 것”이라며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말이 다가온다. 전북 문학잡지 창간호 영인본이라는 또 하나의 사업이 전북지역 문학 문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세계 문학적 지형에 대한 촉진제 역할을 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문인협회 #영인본 #문학잡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