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16:33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외부기고

[2023 전주세계소리축제 리뷰] 열린 판으로 섞여드는 소리, 사람, 그리고 세계

image
박종현 씨

비가 야속하게도 한없이 쏟아지는 2023 전주세계소리축제의 본격적인 첫날이었다. 코로나로 인해 닫혔던 야외 소리판이 수년 만에 온라인을 넘어 현장 속에서 활짝 열림을 하늘이 시기하는 듯하였다. 자원봉사자들은 바람에 밀려 천막 속으로 들이치는 빗줄기로부터 의자들을 보호하느라 안간힘이었다. 비 때문에, 가까이서 또 멀리서 초대한 베트남, 중국, 아랍에미리트, 한국의 음악가들 앞에 많은 관객이 들지 않으면 어쩌나 하는 걱정으로 스태프들의 표정도 밝지 않아 보였다.

그렇지만 소리판이란 본디 근대적 의미의 실내 단상 위 무대이기 이전에 팔방이 열린 땅 위에 사람이 모여드는 것이고, 그 위에서 펼쳐지는 (음악학자 머레이 샤퍼가 고안한 개념인) “소리풍경”이 비와 바람, 새와 소음, 습도까지 품음으로써 그날만의 특유한 색깔을 지닌, 반복될 수 없고 잊을 수 없는 연행을 낳게 되는 것이다. 이날의 비는 야외 무대가 지닌 그러한 묘미의 원천이 되었다. 스태프들의 걱정을 기우로 만들며 점차 많은 관객들이 모여들었고, 그들은 비에 지지 않는 박수를 보냈다. 음악가들은 비와 어울리며 혹은 비와 대화하며 자신의 음악을 보여주었다.

베트남 중부 잘라이(Gia Lai) 성에서 온 소수민족 즈라이(Jrai)인들은 우리의 징에 빗댈 수 있는 타악기 공(Gong)의 합주를 통해 선율을 만들어내며 빗속 무대로 입장하였다. 잘라이 지역이 위치한 베트남 중부 고원지대에서는 9월이 가장 습하고 비가 많이 오는 달이라는데, 어쩌면 관객은 그러한 기후와 공기마저 음악과 함께 무대 위로 옮겨진 모습을 보게 된 셈이다. 대나무로 만든 실로폰과 유사한 원리의 쭝(t’rung), 나무 줄기에 막대기를 달고 줄을 메어 뜯는 현악기 띵 닝(ting ning) 등, 한국에서 보기 어려운 악기들을 불고, 긁고, 두드리며 앙상블을 구현하였다. 대나무로 할 수 있는 모든 주법을 보여준 듯한 “아침”은 날씨의 도움으로 잘라이 지역 우기의 아침을 관객에게 더욱 잘 전해준 셈이 되었다.

빗줄기가 한층 더 세차진 늦은 오후, 남해안별신굿보존회가 무대에 올라 프로그램상 예정되어 있던 “맞이굿” 대신 “가망굿”을 첫 차례로 올렸다. 가망굿은 사회자의 설명처럼 농업 및 어업에 알맞은 날씨의 조정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기에, 축제의 상황에 맞는 레퍼토리로 의도적으로 바꾼 것이 아닌가 싶었고, 설사 잘못된 추측이었다 할지라도 그 변화가 의미있고 아름답게 느껴졌다. 어찌할 수 없는 날씨의, 자연의 힘 속에서 우리와 마을의 안녕을 소리로, 몸짓으로 힘껏 비는 모습으로서 굿이 한층 더 비치었다. 전투에 희생되어 바다에 남은 넋을 기리는 군웅굿, 종이로 정성스레 만든 용선으로부터 꽃을 하나씩 관객들에 건네며 복을 전한 용선놀음까지 끝나자 놀랍게도 비가 많이 잦아들었다.

어둑해진, 습한 늦여름 혹은 초가을밤은 아랍에미리트의 연주자들이 만든 크로스오버 프로젝트 타와슬(TAWASL)의 소리가 채웠다. 바이올린, 피아노와 같은 서구 악기와 중동 지역의 대표 류트 계열 악기인 우드(oud), 양금과 유사하게 생겼지만 그와는 달리 뜯어서 소리를 내는 지터류 발현악기 카눈(qanun)이 어우러지며 묘한 공기를 만들었고 관객의 열띤 호응을 이끌어냈다. 옛 말로 따지면 멀리 “서역”에서 온 그들의 소리를 가만히 앉아 들으며, 서역의 어딘가에서 한반도의 음악 앞에 앉아 동녘의 초가을을 감상하는 어떤 이의 모습을 떠올렸다. 그 뒤에 이어진 악단광칠의 멋진 기악곡 “북청”과 같은 음악을, 어떤 서역의 관객이 서역의 땅냄새 위에서 생소함과 설렘으로 듣는 모습 말이다. 축제란, 판이란 그런 것이다. 이 나라의 공기 속으로 다른 나라의 공기가, 이 나라의 사람 앞으로 저 나라의 날씨가 당도하여 서로 섞여드는 것이다. 이렇게 귀한 ‘열린’ 판이 더 많은 이들을 향해, 더 좋은 날씨와 함께 다음 날부터 끝까지, 그리고 그 다음, 다다음 해 계속하여 펼쳐지기를 기원한다.

박종현 월드뮤직센터 기획팀장은

국민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 및 단국대학교 음악대학 강사로 재직중이며, 재단법인 월드뮤직센터에서 기획을 맡고 있다. 인류학 연구자이자 대중음악 창작자이기도 하다. 제11회 국립국악원 학술상 평론부문을 수상하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3 #전주세계소리축제 #리뷰 #놀이마당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