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들이 자치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돼 전주세계소리축제을 전북도민의 품으로 다시 돌려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도의회 환경복지위원회는 11일 도의회 회의실에서 ‘전북도민이 본 전주세계소리축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및 방안’을 주제로 학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학술세미나에서 송화섭 후백제연구회 회장은 ‘한국 축제문화와 전주세계소리축제-주최와 주체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한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 소리축제조직위원회의 주관·주체의 문제점 등을 깊이 있게 분석했다.
송 회장은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회는 조직위원 27명, 상임위원 5명, 삼사 2명으로 구성돼 있다”며 “하지만 상임위원 5명 가운데 위원장을 포함한 3명이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 이는 실질적인 운영의 주체가 서울에서 논의되고 주도된다는 점”이라며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회 구성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그는 “전주세계소리축제 등 지역축제는 주민들이 주체이어야 하나, 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있고 지역주민들은 객체에 머물러 있다”며 “전주세계소리축제에 지역주민들이 주민 자치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관주도형 축제가 아닌 도민의 품으로 돌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전주세계소리축제 예산의 계획 및 집행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한 발표를 진행한 이춘구 전 전북대 교수 역시 축제 주체와 프로그램, 진행 과정 등을 지적하며 자본주의 이벤트 행사로 변질된 세계소리축제에 대해 꼬집었다.
이 교수는 “전주세계소리축제 비판론자들은 연간 30억 원 가량, 지난 23년간 600억 원 정도 투입했지만, 과연 그 비용 대비 충분한 효용을 거뒀는지 의문”이라며 “소리 축제를 비용편익 분석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시사점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그러기 위해선 소리축제를 기획하고 실행하도록 제안한 입장에서는 23년이 지난 현재 종합적인 진단을 내리고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소리축제가 지향하고자 하는 고유의 예술성과 개방성, 글로벌화, 협력관계 구축, 상호번영 등의 측면에서 시험적으로 도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