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예산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올해 본예산보다 1260여억 원이 늘어난 추경예산을 의회에 제출했다.
시는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안으로 본예산 2조5718억원 보다 1267억 원(4.93%) 늘어난 2조6985억 원 규모의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전주시의회에 제출, 심의를 요청했다고 15일 밝혔다.
추경예산안은 이날부터 오는 26일까지 진행되는 시의회 임시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복지분야 예산안 주요 내용으로는 △기초연금 200억 원 △노인일자리 사업 62억 원 △장애인 활동지원 사업 53억 원 △장애인연금 지급 13억 원 △부모급여 30억 원 △첫만남 이용권 6억 원 △보육교직원 인건비 지원 23억 원 등이다.
민생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는 △소상공인 특례보증 지원 12억 원 △지역화폐 발행 및 운영 81억 원 △전북형 창업 패키지 4억 원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36억 원 △청년매입임대주택 공급 21억 원 △청년 전세 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2억원 등의 예산을 책정했다.
이와 함께 시는 폐기물처리와 운수업계 재정지원을 통해 시민들에게 쾌적하고 편안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청소·교통분야 지원예산도 편성했다.
편성된 주요 예산은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대행비 85억 원 △생활쓰레기 위탁처리 4억 원 △버스운송사업 재정지원 112억 원 △도로유지보수 40억 원 등이다.
△전주 전시컨벤션 건립 48억 원 △완주·전주 상생협력사업(상관저수지 힐링공원) 15억 원 △드론스포츠 복합센터 건립 40억 원 △2024 세계 한인비즈니스대회 운영 10억 원 △서부권 복합복지관 건립 20억 원 △대한민국 문화도시 추진 13억 원 △기린대로 간선급행버스체계(BRT)구축 43억 원 등 현안 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을 위한 예산도 책정됐다.
시는 추가 소요되는 재원은 지방세와 조정교부금, 국·도비 보조금, 2023년 회계 결산에 따른 순세계잉여금 등을 세입으로 활용했으며, 교부세 감소 기조 등 재정 여건 악화 속에서 올해 미집행이 예상되는 사업과 집행잔액 등 세출예산 조정 등을 통해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강준 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제1회 추경예산안은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 사회적 약자의 생활 안정과 소상공인 지원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필요한 사업에 배분하려 노력했다”면서 “예산이 확정되는 대로 계획대로 속도감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