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大暑)인 22일 전북지역 14개 시·군 전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최근 10년 평균 여름폭염과 열대야 일수가 늘어나는 등 더위가 더욱 맹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기상지청에 따르면 이날 정읍과 김제에는 폭염경보가, 나머지 12개 시군에는 폭염주의보가 발령됐다. 이번 주는 비소식 없이 더위가 계속될 것으로 예보돼 폭염경보 지역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폭염경보는 낮 최고 기온이 35도 이상이고 체감온도 41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표된다.
이런 가운데, 최근 10년 간 전북지역의 여름 폭염일수가 더 많아졌다는 통계가 나와 온열질환 등 건강관리에 주의가 요구된다.
기상지청이 발표한 '전북특별자치도 최근 10년 여름철 폭염과 열대야 통계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 여름철 평균 폭염일수는 13.8일로 평년보다 2.2일(15.9%) 늘어났다.
폭염은 낮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을 말하는데, 지역별로는 익산이 평균 21.1일로 폭염일수가 가장 많았고, 이어 완주 20.9일, 무주 19.5일, 전주 19일, 정읍 18.1일, 순창 18일, 남원 17.4일 등이었다. 장수는 5.7일로 가장 적었다. 폭염일수가 집중된 달은 8월이었다.
밤에도 최저기온이 25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열대야의 전북지역 평균 일수는 최근 10년 간 7.8일로 평년보다 1.5일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전주가 평균 15.6일의 열대야가 발생, 도내 14개 시 ·군 중 잠 못이루는 밤이 가장 많았다. 이어 김제 13일, 부안 12.6일, 군산 12.1일, 고창 9.5일 등의 순이다. 진안이 0.1일로 가장 적었다.
전주의 경우 도내 타 시·군보다 많은 아스팔트로 인해 낮동안 오른 뜨거운 기온이 떨어지지 않고 빌딩 숲에 막혀 배출되지 못하는 열섬화 현상 때문에 열대야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기상지청 관계자는 “당분간 전북 대부분 지역에서 낮 최고기온이 33도 내외(정읍, 김제 35도 내외)로 올라 매우 더울 것”이라며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야외활동과 외출을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