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6:15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기획 chevron_right 트렌드에 민감한 기자들
자체기사

[트민기] "내 강아지가 사람으로"⋯지브리가 쏘아올린 'AI 이미지' 유행

챗GPT 이용한 이미지 생성 트렌드, SNS 중심으로 확산
지브리 이어 동물→사람, 사람→인형 변환 트렌드 유행

유행은 돌고 돈다. 빨라도 너무 빨리 돈다. 괜히 아는 척한다고 "요즘 유행인데 몰랐어?" 이야기했다가 유행이 끝나 창피당하는 일도 다반사다. 트렌드에 민감한 기자들,  트민기가 떴으니 이제 걱정 없다.

이 기사를 읽는 순간에도 SNS,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수많은 유행이 올라오고 트렌드가 진화한다. 트민기는 빠르게 흐름을 포착해 독자에게 전달하는 게 목표다. 여기서 그치면 재미가 없을 것 같아 또 하나 새로운 기획을 준비했다. 전국적인 유행뿐만 아니라 전북에서 '핫'한 현장이 있다면 바로 출동한다. 이것이 우리의 임무다.

오늘은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첫 번째 트민기는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지금도 '핫'한 챗GPT AI 이미지 변환으로 주제를 정했다.

 

image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X에 업로드 한 지브리 화풍 이미지./사진=샘 올트먼 X

챗GPT를 활용한 이미지 생성 트렌드가 전세계로 빠르게 퍼지고 있다.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의 화풍을 입힌 이미지로 변환하는 트렌드가 SNS를 중심으로 유행하며 큰 화제를 모았다.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챗GPT 개발사 오픈AI는 새로운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모델을 공개했다. 간단한 명령어만으로도 더 구체적이고 정교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사용법도 간단하다. 지브리 화풍을 원하면 챗GPT에 사진을 올리고 “이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바꿔달라”고 요청하면 된다.

간단한 사용법에 AI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트렌드가 연이어 등장하고 있다.

지브리 화풍 트렌드에 이어 반려동물 사진을 사람 모습으로 바꾸는 트렌드도 인기를 끌고 있다. 이용자들은 챗GPT를 통해 반려동물을 사람으로 변환한 이미지를 원본 사진과 함께 SNS에 게시하며 인증을 이어가고 있다. 

image
기자의 반려묘가 챗GPT를 통해 사람 이미지로 변환된 모습.

기자의 반려묘 ‘하루’도 챗GPT를 통해 사람이 됐다. 바닥에 앉아 있는 하루의 사진을 게시하고 명령어를 입력하자 성인 여성의 모습으로 변환된 이미지가 출력됐다. 이후 하루의 실제 나이인 8살을 입력하자 어린아이의 모습으로 재구성된 이미지가 나타났다.

image
챗GPT로 만든 기자 인형 포장 이미지. '기자'하면 떠오르는 소품 5가지를 넣어달라고 명령어에 입력했다.

최근에는 사진 속 인물을 장난감 가게에서 판매하는 포장 인형처럼 바꾸는 트렌드도 떠오르고 있다. 국내 SNS에서도 챗GPT를 통해 이미지를 포장 인형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소개한 영상이 16만 회 이상 조회수를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다.

오픈AI는 이미지 생성 모델을 공개한 첫 번째 주에만 7억 개가 넘는 이미지를 생산했다.

브래드 라이트캡 오픈AI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지난 4일 X(구 트위터)에 “(챗GPT의 새로운 이미지 생성 모델이 발표된) 지난 화요일 이후로 1억 3000만 명이 넘는 사용자가 7억 개 넘는 이미지를 생성했다”고 밝혔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또한 지난달 말 X를 통해 “사람들이 챗GPT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을 보는 건 정말 즐겁지만 우리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며 “이미지를 생성하는 일을 좀 자제해 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X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화풍 이미지로 바꿔 트렌드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였다.

디지털뉴스부=문채연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기획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