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news
아내가 머리카락을 잘랐습니다 귀도 놀랬는지 발그레 하네요 아내는 서인영 스타일이라고 우기지만 저는 몽실 언니라며 키득댑니다 관리하기도 편하고 돈들 일도 없다네요 마지막 남은 그녀를 잃어버린 것 같지만 웃기로 합니다 눈을 흘긴 뒤 욕실로 흘러드는 아내 문틈으로 물소리와 노랫소리가 방울방울 튀어 오릅니다 나는 신데렐라~ 나는 신데렐라~ 건조대처럼 지켜보는데 아내의 바다가 제 발끝을 적시네요 저는 필요 없어진 머리끈처럼 다가섭니다 아내의 머리에 양손을 담급니다 처음으로 닿은 아내의 깊은 곳, 떨고 있네요 나는, 신데렐라~ 나는, 신데, 렐라~~ 아내는 결국 제 손끝에 바다를 엎지르고 맙니다 천천히 천천히 괜찮다고 괜찮다고 머리를 감겨줍니다 미처 털어내지 못한 머리카락들이 제 눈 여기저기에 박힙니다 제 어딘가도 잘립니다 꽃을 잘라낸 줄기들이 아파트 담장에 가득 했다고, 딸아이의 항암치료를 앞두고 잘라낸 붉은 꽃들이 미용실 바닥에 가득 떨어졌다고 꽃을 잘라낸 아내, 그녀의 두 눈에서 열매가 열립니다 ※ 김명호 시인은 2002년 대산대학문학상 소설부분 수상 작가며, 올해 계간『시작』에서 신인상을 받으며 시인으로도 등단했다.
청보리 물결이동진강의 푸른 물보라보다더 싱그러운 나날왕임리로 가는 고라실 안쪽의 보리밭은비단이불같이 푹신한 게외려 여관방보다 훨씬 좋단다삼리마을 또또새 영감님 아들 용철이 성과목포관집 점박이 둘째 누나가밤마다 푸른 요대기를 깔며어찌고 저찌고 하는 사랑놀이가 한창인데종달새들이 지지배배소문을 물어 날으며써어글 것들!금년 보리농사 당 망쳐버리네혹부리주인영감께얼른 가서 일러버려야지※장지홍 시인은 시집 「칠석날」과 4남매가 엮은 「석람 장호상가사화집」이 있다. 문예가족, 석정문학 동인이다.
오월의 산과 들이 온통 푸르른 것은 이 땅에 어린이들이 있기 때문입니다.넘치는 사랑 속에 희망과 행복이꽃피는가정의 달 5월!고목 등걸에서 새싹이 돋아나듯조상의 뿌리에서 태어난 우리어린이는 겨레의 새싹입니다.자연의 축복 속에 만물이 생동하듯어른들의 보살핌 속에 무럭무럭 자라나는우리 어린이는 우리의 기쁨입니다.끌어주는 스승님의 가르침에 따라밀어주는 부모님의 사랑 속에서미래로 세계로 우주로 달려나가는우리 어린이는 우리의 희망입니다.어린이 날이 있어 즐겁고어버이 날이 있어 고맙고스승의 날이 있어 정다운5월은 우리들의 세상입니다.※아동문학가 강대택씨는 40년간 초등 교사로 재직. 2004년부터 4년간 전북일보에 연재한'강대택의 알쏭달쏭 우리말'을 책으로 냈다. 동시집「등나무의 노래」, 시평설 「짧은 시 긴 여운」이 있다.
언젠가 그대가 내 방에 머물 때 이 길 상언젠가 그대가 내 방에 머물 때 책상 구석의 귤 껍데기 땡강땡강 말라가고 일요일 슬리퍼를 끌고 옥상에 올라가 아무도 읽지 않을 시집을 읽으며 생각에 잠겨보고 싶다. 그렇게 서 있다 홀로 돌아오고 싶다.언제가 그대가 내 방에 머물 때 작은 화분에 물을 주거나 거리를 걷다가 한 잎 두 잎 떨어져 그냥 묻히는 이파리들을 보며 벤치에 앉아 있고 싶다. 그럴 적마다 청바지 무릎을 이유 없이 문지르며 미소 짓는 나를 보고 싶다.언젠가 그대가 내 방에 머물 때 내가 나를 들여다보듯 하늘을 쳐다보고 싶다. 기울어지는 하늘보다 더 잿빛일 내 안. 가슴이 무거워질수록 왜 살아 있다고 느껴질까. 언젠가 그대가 내 방에 머물 때. ※이길상 시인은 2001년 전북일보 신춘문예와 201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됐다.
물방울 주렴(珠簾)- 김유석 수염이 까끄러워서, 물풍선 같은 달은 어떻게 보리밭을건널까울음 사이사이 적막을 놓고 개구리들은 무엇에 홀리는것일까저마다 숨죽이고 지새던 밤 이었다저대로 무사한 오월 이른 아침꺼스락 바늘 끝에 이슬방울을 올린 청보리들터뜨리지 않고 물방울 방울을 꿰꺼스락과 꺼스락을 엮어 친 가시거미들*김유석 시인은 1989년 전북일보 신춘문예, 이듬해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 <상처에 대하여>. 현재 김제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
[기고] 학교폭력 응답률 1위 오명 씻어야
[의정단상] 새만금에 뜨는 두 번째 태양
[타향에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조세정책과 우리 기업의 대응
[사설] 전북교육청 3년 연속 최우수, 성과 이어가야
[오목대] 학원안정법과 국정안정법
[사설] 전북도, 고병원성 AI 방역 철저히 하길
[사설] 종광대2구역 보상, 국비 확보에 나서라
[한 컷 미술관] 이보영 개인전: 만들어진 그 곳
[딱따구리] 익산시민 그렇게 어수룩하지 않다
[백성일 칼럼] 민심이냐 당심이냐로 판가름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