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가 오는 22일 북한을 재방문해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정부대변인인 호소다 유키히로(細田博之) 관방장관이 14일 발표했다.
호소다 장관은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전하고 피랍 일본인 잔류가족 8명의 송환과 관련, "정상회담이 열리는 만큼 진전이 기대된다"고 밝혀, 잔류가족의 조기귀국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일본 언론들은 전했다.
교도통신은 호소다 장관의 공식 발표에 앞서 고이즈미 총리가 연립여당인 공명당의 간자키 다케노리(神崎武法) 대표와 가진 회담에서 방북 결정에 대해 "진전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방북을) 결단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일본 정부가 고이즈미 총리의 방북 전제로 피랍 일본인 잔류가족 8명의 조기.무조건 송환에 대한 북한측의 확약을 요청해왔던 만큼 이들의 귀국을 위한 정부간 실무협상이 큰 진전을 이뤄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특히 고이즈미 총리가 정부 전용기를 타고 평양에 들어가 잔류가족 송환을 담판짓고 8명과 함께 당일 귀국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고이즈미 총리의 방북은 양국간 국교정상화 목표를 담은 평양선언이 발표된 지난 2002년 9월 평양 방문에 이어 두번째로 성사되는 것이다.
고이즈미 총리는 정상회담에서 잔류가족의 귀국이 실현될 경우 중단된 양국간 국교정상화 협상을 재개, 룡천역 폭발사고에 대한 인도지원을 비롯해 북한에 대한 경제지원 등의 협력의사를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정부는 잔류가족의 송환문제를 비롯해 북핵과 미사일 문제의 포괄적인 해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북한측에 거듭 표명해 온 만큼 기존의 평양선언 외에 이같은 내용을 담은 새로운 합의문서의 작성을 요구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고이즈미 총리는 잔류가족 외에도 북한이 사망했다고 발표한 납치피해자나 납치의심자 등에 대한 진상규명도 함께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고이즈미 총리는 지난 2002년 9월 북한에서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갖고 과거 식민지 지배를 사죄하는 한편 국교정상화 후의 대북 경제협력을 골자로 한 평양선언에 합의한 바 있다.
평양선언에서 북한측은 납치문제의 재발방지에 대한 약속을 비롯 핵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합의의 준수와 핵과 미사일을 포함한 일본의 안보문제 해결 등을 약속했다.
북한측은 평양선언 직후 피랍일본인 5명을 일본으로 일단 돌려보냈다. 일본측은 이들의 가족도 일본으로 송환하라고 북한측에 요구해왔으나 북한은 5명이 약속을 깨고 일본에 눌러앉았다며 먼저 이들을 북한으로 보내라면서 맞서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