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이란 땅에 뿌리를 두고 있는 존재다. 그래서 건축법에서도 ‘토지에 정착하는’것 자체를 건축물이 되기 위한 제일조건으로 삼고 있다. 그렇다면 외국처럼 물위에 떠있는 수상가옥이나 나뭇가지 위에 올려놓은 고상주거는 무엇일까. 물론 땅에 정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건축물이 될 수 없다.
이렇게 건축물에서 땅은 중요한 기준이 된다. 땅은 보통 흙과 물과 바위로 구성되어 있는데 바위로 이루어진 석맥(石脈)을 인체의 뼈에 비유한다면 물은 피가 되고 흙은 그 뼈와 피를 감싸고 있는 살이 된다. 그러면서도 땅은 그 용도나 관점에 따라서 각각 다른 이름으로 다양하게 불려왔다.
우리는 땅을 그냥 간단하게 토지(土地)라고 불러왔지만 생명의 근원이라는 의미에서 바라보면 땅은 토양(土壤)이 된다. 이와 달리 건축행위를 할 수 있는 땅은 대지(垈地)라고 하고 지적경계선으로 구획된 각각의 땅은 필지(筆地)라고 부른다. 또 대규모 사업을 시행하는 대상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땅은 부지(敷地)로 자리잡는다. 그런데 노벨문학상을 받은 펄벅여사는 이 모든 것을 뭉뚱그려서 대지(大地)라고 표현해 놓았다. 땅이란 그저 단순한 무생물체가 아니라 마치 어머니와 같은 존재라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유전자를 가지고 증식을 할 수 있는 것을 생물이라고 하는데 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스스로 증식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땅 그 자체를 생물이라고 우길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러나 통상적인 의미의 생물은 아닐지라도 흙은 제 몸 안에 박테리아나 지렁이 등 수많은 미생물의 삶터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 모든 생명의 근거가 되어왔다.
이렇게 흙은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상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다. 뭇 생명을 기르는 자양분이 되기도 하고, 제 몸 안에 기초를 끌어들여 건축물이란 개체를 땅 위에 버티고 서있게 하는 모태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발을 디디고 서있는 바로 이 흙과 땅을 건축의 근원이라고 하는 것이다.
/삼호건축사사무소 대표건축사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