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06:28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건설·부동산
일반기사

[최상철의 건축이야기] 건강생활의 시작, 틈

겨울 찬바람이 한차례 휘젓고 지나가면 추녀 밑에 매달린 풍경이 갑자기 소 방울처럼 떨렁거리기 시작한다. 이에 뒤질 새라 문풍지도 ‘포르르’ 떨며 잊혔던 제 존재를 알린다. 그러던 저러던 또 한쪽 아궁이에서는 연신 장작불이 활활 타오르고 있고, 그 덕에 뜨끈뜨끈하게 달궈진 구들방 아랫목에서는 오순도순 모여앉아 한겨울의 매서운 추위를 함께 녹이곤 했다.

 

그게 아파트가 대량으로 보급되기 전까지 우리가 흔하게 보던 겨울풍경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것도 옛 추억이 되고 말았다. 난방시설이 고루 잘 갖춰진 요즈음 현대식 아파트에서는 더 이상 ‘웃풍’이 생기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랫목'」이라는 훈훈한 공간도 사라져버렸기 때문이다.

 

아파트는 그 구조상 위 아래층과 좌우 옆 세대에서 동시에 난방을 하게 되고, 또 건축법의 단열규정이 더 한층 강화됨으로 해서, 이제 집안으로는 거의 찬바람이 들어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된 것이다. 그래서 한겨울에도 얇은 속옷차림으로 실내생활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또 그게 좋은 아파트의 필수조건이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거기에 있다. 사실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아파트의 실내공기 오염정도는 생각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고 한다. 믿기 어렵겠지만, 자동차가 쌩쌩 내달리고 있는 도로보다도 더 오염되어 있다고 하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아파트 자체가 갈수록 밀폐되어 가는 게 그 주요원인이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우리들의 생활습관에도 많은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어느 집이나 겨울철에는 거의 창문을 닫아놓고 생활하게 되는데, 그러다 보니 실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나 미세먼지 등은 갈 곳을 잃게 되고, 어쩔 수 없이 집안 이곳저곳에 수북이 쌓이게 된다. 더욱이 새로 입주한 아파트라면 문제는 더 끔찍하다. 새 가구나 인테리어 제품에서 쏟아져 나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마치 밥 먹듯이 들이마셔야 된다.

 

그렇다고 포기할 필요는 없다. 조금 더 춥고, 조금 더 불편하게 살겠다는 각오만 하면 된다. 아니, 굳이 각오라고 할 것도 없다. 창문만 조금씩 열어놓으면 된다. 창문마다 엄지손가락 하나 겨우 들어갈 정도의 조그마한 틈을 집안 곳곳에 만들어 보자. 그동안 막혔던 실내외 공기가 비로소 순환을 시작하게 된다. 마치 온 몸에 피가 골고루 퍼져나가듯, 아파트 실내에도 기류가 서서히 돌아나가기 시작하게 될 것이다.

 

새해에는 다들 이렇게 조금씩 틈을 만들고 살았으면 좋겠다. 집안에 나있는 창문에도 여기저기 틈을 만들어 두고, 또 가능하다면 우리 마음의 창문에도 틈을 만들어보자. 그래서 서로에게 틈을 보이며 그렇게 조금씩 헐렁하게들 살았으면 좋겠다.

 

/삼호건축사사무소 건축사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