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18:46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일반기사

[오목대] '2인자' 자리

한국 정치에서 JP(김종필)는 ‘영원한 2인자’로 꼽힌다. 40여년의 정치인생 동안 풍운아이기도 했지만 ‘서산(西山)을 벌겋게 물들이지 못하고’ 정치를 접어야 했다. 그는 1961년 당시 35살의 나이에 처삼촌인 박정희 장군이 일으킨 5·16 쿠데타에 가담하면서 역사의 무대에 등장했다. 이후 ‘만년 2인자’ 역할을 수행했다. 박 대통령 밑에서 뿐아니라 14대 대선에서는 3당 합당으로 YS(김영삼)를 대통령으로 만들었고, 15대 대선에서는 DJ(김대중)를 대통령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3김(金)중 유일하게 본인만 대통령에 오르지 못했다.

 

그런 그는 고빗길마다 고사성어로 자신의 심경을 토로했다. 그중 가장 많이 회자되는 게 상선여수(上善如水· 물과 같이 순리에 따라 산다)다. 그의 좌우명과 같은 이 말은 원래 노자(老子)에서 나왔다. 노자는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아주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않는다(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고 했다. 그의 궤적을 더듬어 보면 딱 맞는 좌우명일듯 싶다. ‘2인자의 철학’ 같은 게 느껴진다고나 할까.

 

우리 사회의 웬만한 조직에는 부(副) 자가 들어가는 2인자 자리를 두고 있다. 부회장, 부사장, 부총장, 부총재, 부본부장, 부단장, 부지사장, 부지부장, 부지사, 부시장, 부군수 … 등등.

 

하지만 2인자 자리는 그 단체에서 일인지하 만인지상(一人之下 萬人之上)이긴 하나 처신이 어려운 게 사실이다. 단체장이 선거직으로 뽑힐 경우 더욱 그러하다. 모든 권한이 단체장에게만 쏠려 있는데다 그의 입맛에 맞지 않으면 살아 남기 힘들기 때문이다. 결국 부단체장은 궂은 일만 도맡고도 그늘에 가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원래 법에는 ‘부단체장은 당해 시군의 장을 보좌하여 사무를 총괄하고 , 소속 직원을 지휘·감독한다’고 규정돼 있다. 법대로라면 부단체장의 권한은 막강하다. 인사위원회 위원장과 경리관으로서 예산 지출권한도 갖고 있다. 그러나 실제 위상은 그렇지 못한게 현실이다.

 

이와 관련, 최근 도내 K지역 부단체장을 지내다 전북도로 전입해 온 S씨의 e메일 내용이 화제다. 비교적 청렴한 것으로 알려진 S씨는 “지난 3년반 동안 밥만 축내게 하고 틀린 글자 몇개 고친 일 외에는 아무런 한 일이 없이 있다가 떠나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상선여수가 쉽지 않은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