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도로 좁거나 없고 주차 보관대 부족...곳곳에 장애물 위험
군산시가 고유가 파고를 대비해 페달을 굴리기 시작했다. 시는 자전거 데이를 지정하고, 시의회는 오는 19일부터 열리는 제123회 임시회에서 이용활성화 조례안의 의원발의를 예고하는 등 6월부터 자전거타기 운동이 본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선언이 자칫 구두선에 그칠 형편이다. 기반시설이 사실상 전무, 안전상의 문제 및 자전거 도난·분실 우려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는 27일 첫 '자전거 데이'를 20일 정도 앞두고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시청 공무원과 시민들의 주요 출·퇴근길인 나운동과 대야면, 금강하구둑, 소룡동 등 4곳을 주요 방향으로 설정하고 자전거로 직접 돌아봤다. 그 결과 상당수 구간에서 '목숨걸고 타야하는 위험부담'이 그대로 바퀴에 묻어났다. 합격점을 줄만한 곳은 금강하구둑 연안도로 뿐이었다.
나머지 구간에는 인도에 1m도 채 안되는 자전거 도로가 마련돼 있거나, 아예 없었다. 특히 가장 많은 이용이 예상되는 나운동과 소룡동의 경우 차와 자전거, 행인이 뒤엉켜 신경전을 벌여야 하는 상황이다. 불법 주차차량과 적재물도 두바퀴의 이용을 어렵게 하고 있다.
갈아탈 수 있는 환승 편의시설도 시급했다. 시청 민원실 앞에 20대 정도를 주차할 수 있는 자전거 보관대가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청 공무원들 조차 보관대 미비에 따른 도난 우려를 자전거 활성화의 가장 큰 장애물로 여기고 있을 정도다.
시민들은 "교통수준이 타지역에 비해 뒤떨어지는 군산에서의 자전거 출퇴근은 목숨을 저당잡히는 일이다"면서 인프라 구축의 시급성에 입을 모았다. '우리도 자전거로 출퇴근하고 싶다'는 내용으로 조만간 거리캠페인을 전개할 예정인 군산자전거타기생활화운동본부도 입장은 마찬가지.
박종진 사무국장은 "시와 의회가 고유가시대를 대비해 자전거타기 운동을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헛구호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면서 "시민들은 전시행정 보다 실질적인 활성화 대책을 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