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상수원 연장 법적 해결 시사…군, 취수보 철거운동 불사
속보=전주시가 임실군 관촌면 방수리 상수원 이용 연장에 대해 법적 문제로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임실군과 해당 지역주민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임실지역 주민들로 구성된'섬진강오원천 맑은물 찾기 임실군민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 김상초 대표는 3일"전주시가 임실군을 무시하고 법적문제로 전환해 해결할 때는 임실군의 권한인 구조물관리권을 동원해 방수리 취수보 철거운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운동본부가 이처럼 강경 입장을 보인 것은 운동본부의'방수리 상수원 이용연장 반대'(본보 10월 28일자 12면)'에 대해 전주시가 법적으로 해결하려는 기미가 감지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운동본부는 지난달 27일 기자회견에서 "전주시의 방수리 상수원 이용연장을 절대 불허한다"고 밝혔었다.
이에 전주시는 이달 2일 "최종 결정권은 국토해양부에서 가진 만큼 협의를 통해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양 지역간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정부의 중재를 통해 해결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하천관리권은 자치단체의 권한이었으나 올해부터 영산강 홍수통제소로 이관됐다. 이에따라 임실군은 사실상 실질적 권한을 상실하게 된 상황이다. 그러나 구조물 관리권은 임실군에 속해 있다.
임실군과 주민들이 강경 입장을 보이고 있는 이유이다.
특히 임실군과 주민들이 이같은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은 35사단 이전과 산업단지 유치 등에 따른 인구증가, 농업용수 및 하천유지수가 절대 부족해 용수 확보가 시급하다는 현실적 상황이 자리하고 있다.
현재 1일 7000톤의 방수리 상수원을 이용하는 임실군 입장에서는 향후 35사단이 이전할 경우, 생활용수 수요량은 엄청나게 늘어나 용수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임실읍에 조성될 일진제강과 협력업체 등 50만㎡에 입주하는 기업체에 생활 및 공업용수를 제공해야 하는 책임도 임실군이 안고 있다.
더욱이 국민관광지인 관촌사선대는 평소 하천유지수의 절대 부족으로 관광객 감소에 이어 농업용수 마저 모자라 농가의 민원이 끊이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렇다고 전주시는 8만여 시민들의 수돗물 공급원인 방수리 상수원을 쉽사리 포기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따라 자칫 양 지역간 갈등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방수리 상수원 물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전주시와 임실군, 지역주민대표 등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