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폐수와 가축분뇨 등 폐기물을 바다에 버려온 전국 19개 업체들이 29일부터 쓰레기 반입과 해양배출을 전면 중단하기로 하면서 전국 각지에서 쓰레기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해당 업체들은 내년부터 축산폐수와 하수슬러지의 해양배출을 전면 금지하겠다는 정부의 입법예고에 반발하며 배출 중단을 결정했다.
'쓰레기의 완전한 육상 처리는 시기상조'라고 주장하며 관련 법 시행규칙 개정안의 철회를 촉구하고 있는 것.이같은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등 폐기물 수거중단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인천항 주변에 위치한 3개 해양배출업체가 이날부터 폐기물을 받지 않겠다고 처리 업체에 통보하면서 1일 약 200대에 이르던 반입 차량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다.
포항에서도 연간 50만여t의 폐기물 해양배출을 담당해온 3개 업체가 이날부터 반입과 배출을 중단했고, 울산에서도 비슷한 규모를 처리하는 4개 업체가 사실상 파업에 동참했다.
수거 중단된 폐기물은 처리 업체들이 당분간 자체 탱크에 저장해둘 수 있지만 용량에 한계가 있어 오래 버티기 어렵다.
업계 관계자는 "2, 3일은 버틸 수 있겠지만 사태가 1주일 이상 지속될 경우 수거 중단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뾰족한 수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폐기물의 육상처리시설 건립을 서두르고 있지만 계획한 대로 공사를 마칠 수 있을지 조차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전국 가축분뇨의 약 10%가 발생하는 전남지역의 경우 전체 분뇨의 98%는 육상처리가 가능하지만 나머지 1.6%인 8만t은 매년 바다에 버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남도와 일선 지자체들은 해양투기되고 있는 가축분뇨 물량을 해결하기 위해 공공자원화시설을 늘리고 가축분뇨 액비화 시설도 활용하기로 하는 등 해양투기 물량 축소에 나서고 있지만 기한까지 해결방안이 나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또 1곳 당 가축분뇨 하루 처리용량이 100t인 공공자원시설 8곳도 신설하기로 했지만 현재 공사가 마무리된 것은 4곳에 불과해 나머지 시설의 완공을 서두르고 있다. 부산시는 당장 내년부터 하수슬러지 해양투기가 금지되면 어려움이 생길 것으로보고 있다.
부산에서 하루동안 발생하는 하수 슬러지는 551t인데 이중 257t 정도가 바다에 투기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내년 8월께 하수슬러지를 태워 연료화하는 시설이 가동되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이나 내년 초부터 8월까지 하수슬러지 처리가 문제"라며 "일단 추가로 매립하는 수밖에 없어 가능한 곳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