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9 03:21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건설·부동산
일반기사

건설업계 아파트 분양, 지방이 '효자'

상반기 이어 수도권보다 계획대비 실적 높고 계약률도 우위

10월 중순까지 진행된 건설업계의 '가을 분양대전' 개막전에서 지방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지방 분양시장은 수도권보다 계획 대비 실적이 높았을 뿐 아니라 계약률도 압도적인 우위를 보여 상반기에 이어 업계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2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현재까지 9~10월 분양 물량은 수도권 1만7564가구와 지방 1만9550가구를 합친 3만7114가구로 당초 계획했던 9만4630가구 대비 39%에 그쳤다.

 

부동산경기 침체에 유럽 재정위기 등 대외적인 불안요인이 더해지면서 건설사들이 움츠러들었기 때문이다. 지역별 계획 대비 실적은 수도권 29%, 지방이 57%로 수도권이 지방의 '반토막' 수준이었다.

 

부동산114 김규정 본부장은 "추석 전후로 안 나온 분양이 비수기인 겨울에 나오기는 더 어렵기 때문에 하반기 분양은 9~10월 물량이 대부분"이라면서 "올해 분양실적은 매달 계획 대비 30~40%에 그치는 등 특히 저조했다"고 말했다.

 

분양의 '양'뿐 아니라 '질'에서도 수도권은 지방에 뒤처졌다.

 

롯데건설이 올해 부산에서 3번째로 분양한 사하구 다대동 '롯데캐슬블루'는 계약률 92%를 기록했다. 한라건설의 '전주 송천 한라비발디' 1~2단지와 삼호건설㈜이 경남 김해시에서 분양한 '율하2차e편한세상'은 100% 계약을 달성했다.

 

또 ㈜한국토지신탁의 '춘천뉴시티코아루'는 계약률 80%를 넘겼고 극동건설이 지난달 대구와 안동에서 분양한 '웅진스타클래스 남산'과 '웅진스타클래스 안동'은 각각 80%와 73%의 계약률을 올렸다고 업체는 전했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부산에 공급과잉설에 도는 등 시장 상황이 상반기와 달랐지만 여전히 공급·입주물량이 불충분한 틈새시장을 공략했다"면서 "수익성보다 분양성에 집중해 가격을 시세에 맞춘 점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한국토지신탁 관계자도 "춘천 집값이 단기간에 대폭 올랐는데 우리는 시세보다 저렴한 3.3㎡당 560만원대의 분양가로 춘천뿐 아니라 인근 양구·화천군의 이주 수요까지 끌어들였다"면서 가격을 계약성공의 비결로 꼽았다.

 

반면 수도권에서는 가격도 얼어붙은 수요자들의 마음을 돌리지 못했다.

 

경기 용인시 '서해그랑블2차'는 시세보다 3.3㎡당 100만원 이상 저렴한 분양가를 내세웠지만 계약률은 50%에 불과했다. 최근 청약을 마감한 '서수원레이크푸르지오'도 3.3㎡당 200만원 더 싸지만 경쟁률은 1.35대1에 그쳤다.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에서 분양 중인 '래미안전농크레시티'에서도 중소형인 59㎡와 84㎡는 전 평형대가 1순위 청약 마감됐지만 전체 물량의 60%를 차지하는 121㎡중대형은 청약접수 마지막날까지 애를 태우다가 3순위에서 마감됐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청약통장이 없는 사람들이 기다리다가 3순위에 대거 몰려온 것 같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이번 결과에 대해 "구매심리가 위축됐고 주택구매력도 떨어진 시장에서 가장 확실한 대안은 분양가 조정"이라면서 "수도권도 분양가를 내리고 있지만 수요자의 눈높이를 맞추기에는 역부족이라 형편이 더 어렵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