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23:55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싱크로율’보다 ‘일치율’이 좋아요

△ 일치율

 

‘일치율’은 ‘싱크로율’을 다듬은 우리말이다. ‘싱크로율(synchro率)’이란 어떤 요소와 요소가 합쳐지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완성도’ 또는 ‘정확도’와 비슷한 말로 쓰이는 외래어다.

 

원래 ‘싱크로율(synchro率)’은 ‘동기화’를 뜻하는 영어 ‘싱크로나이제이션( synchronization)의 줄임말인 ‘싱크로(synchro)’와 ‘비율’을 이르는 한자어 ‘율(率)’을 합쳐 만든 말이다.

 

△ 닮은 정도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싱크로율(synchro率)’은 본래 달랐던 두 상태가 매우 비슷한 상태로 바뀌었거나 혹은 서로 일치하는 정도가 높을 때, ‘싱크로율이 높다’고 표현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싱크로율이 낮다’고 표현한다. 영화나 방송의 음성과 자막처럼 어떤 요소와 다른 요소 간의 일치하는 정도를 흔히 싱크로율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어떤 사진을 합성하는데 ‘완벽한 싱크로율이다’라고 하면 합성이 너무 잘되어 합성의 흔적을 알아볼 수 없다는 의미가 된다.

 

△ 닮은꼴

 

요즘 각종 신문과 인터넷에서는 어떤 원본과 또 다른 인물이나 사물이 비슷해 보일 때, ‘싱크로율 100%’라고 표현한다. 예를 들어 어떠한 작품에 출연한 아역 배우와 성인 배우가 놀랍도록 닮았거나, 원작 만화나 소설의 캐릭터를 연기한 배우의 이미지가 잘 맞아떨어질 경우에도 ‘싱크로율 100%’라는 말을 사용한다.

 

똑똑전화(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많은 인기를 끌었던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는 ‘연예인 닮은꼴 찾기’다. 이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자신과 어떤 연예인이 가장 많이 닮았는지 알 수 있다. ‘연예인 닮은꼴 찾기’ 프로그램에서 ‘싱크로율 100%’라는 말은 자신의 모습과 해당 연예인의 모습이 거의 똑같다는 뜻이다.

 

△ 이렇게 쓰세요

 

두 배우는 서로 닮은 꼴 외모로 높은 일치율을 자랑했다.

 

가수의 입술 움직임과 음성이 일치율 100%로 입증되었다.

 

배우 김 씨는 원작 만화의 주인공과 일치율이 높았다.

 

/전주대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