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의 빚 갚을 능력이 악화일로를 걷는 상황에서 향후 글로벌 재정위기의 여파로 경제가 둔화할 경우 가계부채의 부실화가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을 포함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826조원으로 해당 분기를 포함하는 직전 1년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원계열) 1천204조6천억원의 68.6%를 차지했다.
이는 매년 상반기 말 기준으로 따졌을 때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7년 이후 최대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란 국민총소득(GNI)에서 해외로 무상 송금한 금액을 제외하고 무상으로 받은 금액을 더해 실제로 국민이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GNI는 국내 부가가치 생산량인 명목 국내총생산(GDP)에 해외 이자·배당·근로소득 등 국외 순수취요소소득을 가감해 산출한다.
매년 6월 말 가계대출 잔액이 직전 1년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52.0%로 처음 절반을 넘어선 이후 2003년 54.4%, 2004년 54.5%, 2005년55.7%, 2006년 58.5%, 2007년 60.4%, 2008년 63.8%, 2010년 67.6%로 꾸준히 늘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