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백신이 없는 C형간염 환자수가 꾸준히 늘고있어 감염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27일 질병관리본부의 '우리나라 바이러스성 간염 감시체계 및 C형간염 표본감시결과 분석'에 따르면 표본감시기관의 C형간염 보고 수는 2001년 3000건에서 2011년 4252건을 기록, 10년 사이 1.4배 가량 늘었다.
지난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증감을 반복한 C형 간염보고 건수는 2008년에는 무려 6407건으로 치솟기도 했다. 2009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10년전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기관 당 보고 수는 2001년(34.1건)에서 2005년(30.6건)까지 증감을 반복했다가 2005년 이후 증가세로 돌아서 2008년 41.3건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09년(34.8건)과 2010년(34.5건) 감소세를 보이다 2011년(43.8건) 다시 증가로 돌아섰다.
2011년도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을 보면, 남성 2141건, 여성 2111건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보고 건수가 많았으며, 40~50대 장년층에서는 남성의 발생률이 60대 이상 노령층에서는 여성의 발생률이 높았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