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에 식중독 환자 수가 10년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더위가 예년보다 일찍 찾아오자 상한 음식을 경계하는 소비자 의식이 높아지고 단체급식 관리가 강화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된더위가 장기화하는데다 일부 축산물 가공·판매업체의 위생 관리가 여전히 허술해 방심해서는 안 된다. 지난 31일 농림수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식중독 환자 수는 2천365명으로 작년 상반기보다 31.2% 급감했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2002년 1천571명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다. 상반기 식중독 환자 수는 2009년 4천417명에서 2010년 3천938명으로 줄었고 작년에는 3천436명으로감소했다.
식중독 환자가 급감한 것은 학교, 군대 등 단체급식 관리가 강화된 덕분이다.
상반기 식중독 환자는 작년 상반기보다 1천71명 급감했지만 식중독 발생건수는 113건으로 작년 동기 126건보다 13건 감소하는데 그쳤다. 집단 식중독 발생이 줄었음을 보여주는 근거다. 더위가 일찍 찾아온 탓에 음식 위생에 대한 소비자 민감도가 높아진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 식약청 관계자는 "날씨가 몹시 더우면 소비자들은 맛이 조금만 이상해도 음식을 버리는 경향이 있다"며 "된더위로 음식 위생을 우려하는 소비자의 경계심이 커진데다 정부, 지방자치단체의 예방 노력이 강화돼 식중독 환자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