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전반적인 소비 규모가 축소되며 백화점 업종 주가는 내리고 편의점·홈쇼핑은 올랐다. 19일 통계청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 기준으로 작년 소득 하위 10%인 1분위의 소비지출 중 식료품·비주류음료 비중은 23.6%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뒤이어 주거·수도·광열 부문 소비가 18.2%, 보건 10.9%였다. 이 세 항목 소비가 전체 소비지출의 52.7%에 달했다.
의식주와 질병 치료 등을 위한 기본적인 씀씀이가 전체 소비의 절반이 넘은 것이다.
반면 소득 상위 10%인 10분위의 식료품·비주류음료(11.1%), 주거·수도·광열(7.7%), 보건(5.8%) 등 세 항목 비중은 총 24.6%로 저소득층의 절반도 되지 않았다.
고소득층의 소비 비중이 가장 큰 것은 교통(14.4%)이다. 교통은 고가의 자가용 운영과 기름값 부담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그다음으로 교육(14.0%), 음식·숙박(12.1%) 순이었다. 고소득층 교육 소비 비중은 저소득층(5.5%)의 2.5배에 달해 교육 양극화가 심각한 것을 보여줬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