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방신문협회 공동기획
흔히 비단길이라고 부르는 실크로드는 고대에 비단무역을 계기로 하여 중국과 서역 각국을 이어준 육해교통로를 말한다. 총길이 6400킬로미터에 이르는 이 길은 중국 중원지방에서 시작해 하서회랑을 가로질러 타클라마칸 사막의 남북변을 따라 파미르고원, 중앙아시아 초원, 이란 고원을 지나 지중해 동안과 북안에 이른다. 말이 실크로드이지 목숨을 건 머나먼 행로였다. 이 길은 처음에는 전쟁을 위한 길이고 문물을 거래하는 길이며 종교적으로는 포교의 길이 됐다. 실크로드가 처음으로 열린 것은 前漢(기원전 206-기원후 25) 때다. 한무제는 서아시아로 통하는 교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장건을 중앙아시아에 파견했는데 이를 계기로 중앙아시아 및 지중해의 동편에 이르는 서방 각지와 문물이 왕래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절과 민간인의 왕래는 문물과 문화의 교류를 촉진시켰고 구법승들이 경전을 구하러 실크로드를 따라 인도로 들어갔고 많은 인도승려들이 경전을 가지고 중국에 들어오기도 했다.
기독교가 번성했던 중세이래 유럽인들은 크고 작은 많은 순례지들을 돌아 다녔다. 그들에게 성지순례는 살아있을 때나 죽고 나서 속죄를 위한 중요수단이 됐다. 본인이 신체적으로 불편하면 대리인을 보내기도 했다 한다. 어디로 순례를 다녀왔는가에 따라 등급이 매겨졌는데 예루살렘이 최고의 등급이고 로마와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그 다음 등급이었다. 특히 북부 유럽사람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순례지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였고 1,0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스페인 북부의 모든 길은 이곳으로 이어졌다. 순례자들은 성 야고보의 유해가 있다는 대성당을 찾았다. 오늘날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750㎞에 달하는 여정을 도보 순례를 하고 있다. 장대한 산악지대와 고풍스런 마을들, 숲으로 뒤덮인 길을 걸어 성지에 도달하는 영적 희열은 대단하다.
우리에겐 어떤 길이 있었을까? 요즘 경주에서는 문화엑스포의 일환으로 경주와 이스탄불을 잇는 새로운 실크로드를 개척하고 있다. 중국 서안에서 출발하는 실크로드가 아닌 경주에서 시작점을 잇는 실크로드다. 일본에서는 해양 실크로드라 하여 역시 일본까지 잇고 있다. 8세기의 신라승려 혜초는 요즘의 인도인 천축을 다녀와서 왕오천축국전이라는 기행문을 썼다. 파미르고원을 넘고 타클라마칸사막을 건너 40여개국을 돌아보고 기록한 것이다. 경주에는 서역인의 모습을 하는 석상(石像)이 있고 신라시대에는 서역의 물건을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하기도 했다.
한반도 서측의 해안에 형성된 고대 해양로는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을 잇는 길은 가장 활발한 문물의 교통로였다. 고대에는 육지에 가까운 해안을 따라 항해해 중국에서 한국에 까지 약 2주정도 걸렸다한다. 항해술이 발달하면서 조류와 풍향에 따라 2, 3일 이내에 도달하기도 했다. 신안 해저에서 발견된 배에서 수많은 송대 도자기가 실려 있어서 많은 상선이 드나들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이처럼 길은 여기저기 생기기 마련이다.
요즘 사회의 여러 현상이 모두 막혀 있으니 참으로 답답하다. 막힘은 단절이요 이어져 뚫림은 소통인데 어찌 모두 닫고 살려 하는지 모르겠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홀로 있지 않고 남과 연계속에서 소통하면서 살 수 밖에 없다. 가치가 서로 이어져야 더 높은 가치를 낳는 것이다. 정치는 대화가 중지됐고 경제는 선순환이 되지 않아 계층간에 갈등이 심하니 국민의 삶이 갈수록 어렵다. 국민들의 얼굴이 근엄하고 웃음이 적은 것도 소통이 잘되지 않음일 것이다. 소통으로 길을 열 지도자는 없는 것일까?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