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소득은 늘었지만 소비심리 위축으로 가계가 지갑을 열지 않는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1분기 중 자금순환’ 자료를 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잉여자금 규모는 29조6000억원으로 작년 1분기(28조8000억원) 대비 1조2000억원 늘었다. 직전 분기인 작년 4분기(14조5000억원)와 비교해서는 15조1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잉여자금은 예금이나 보험, 주식투자 등으로 굴린 돈(운용자금)에서 빌린 돈(조달자금)을 뺀 것으로, 이 자금의 증가는 그만큼 가계가 돈을 쓰지 않고 쌓아뒀음을 뜻한다.
올해 1분기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잉여자금 규모는 새로운 국제기준(2008 SNA)을 적용해 자금순환 통계를 새로 낸 2013년 이후로는 최대치다. 옛 국제기준(1993 SNA) 통계와 비교하면 2012년 1분기(31조5000억원) 이후 3년 만에 가계가 잉여자금을 가장 많이 쌓은 것이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