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관사 나갈지 몰라…노모 모셔야, 전세생활하고 싶지 않았다”
“중개업하는 친척이 소개…은행대출 10억에 형제·처가 빚 1억원”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8일 자신이 지난해 서울 동작구 흑석동 재개발구역 복합건물을 25억7000만 원에 매입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것에 대해 “청와대에서 물러나면 집도 절도 없는 상태여서 집을 산 것”이라며 “투기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올해 정기 공직자 재산신고 현황에서 김 대변인은 배우자 명의로 국민은행에서 10억2000만 원을 대출받는 등 자금을 모아 이 건물을 매입했다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결혼 후 30년 가까이 집 없이 전세 생활을 했고, 지난해 2월 (대변인 임명 후부터) 청와대 관사에서 살고 있다”며 “마침 제가 퇴직하고, 30년 넘게 중학교 교사 생활을 한 아내도 퇴직금이 들어와 여유가 생겼고, 분양 신청에는 계속 떨어져 집을 사기로 계획을 세웠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일반적 전세 생활을 하거나 집을 소유했다면 상황은 달랐겠지만, 청와대 관사는 언제 물러날지 모르는 불확실한 곳”이라며 “제 나이에 나가서 또 전세 생활을 하고 싶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팔순 노모가 혼자 생활하고 있다. 전세 생활을 하며 어머니를 모시기 쉽지 않아 넓은 아파트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투기 의혹에 대해선 “집이 있는데 또 사거나, 시세 차익을 노리고 되파는 경우가 투기인데, 저는 그 둘 모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가 산 집이 (재개발 후) 35억원으로 뛸 거라는 일부 언론도 있었다”며 “저도 그러면 좋겠지만 (제가 집을 매입한) 지난해 7월은 9·13 대책 전 주택가격이 최고점이었을 때였다”고 했다.
구매 전 별도 정보를 취득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도 “부동산 중개업을 하는 아주 가까운 친척이 제안한 매물”이라며 “별도로 특별한 정보를 취득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거주해야 할 집이 절실하다면서, 큰 돈을 대출해 이자를 내가며 상가를 소유해야 할 이유가 있나. 이런 부분 때문에 투기로 보이는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선 “은행대출 10억 원은 상환할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이는 가정사와 관련한 문제여서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또 일각의 ‘빚 16억원을 냈다’는 보도에 대해선 “건물가격 25억 원에서 제 순재산 14억 원을 뺀 11억 원이 빚”이라며 “은행에서 10억 원 대출을 받았고, 형제들과 처가에 빌려준 돈과 빌린 돈 등을 계산하면 1억 원의 사인 간 채무가 더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