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메콩 정상회의 공동언론발표문서 밝혀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메콩과 한국은 사람이 행복한 ‘평화와 상생번영의 동아시아’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한·메콩 정상회의’를 마친 뒤 부산 벡스코에서 태국의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와 함께 공개한 공동언론발표문에서 “3억명에 달하는 메콩과 한국의 국민이 서로 긴밀히 교류하며 함께 잘사는 것이 우리의 공동목표”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한·메콩 정상회의’는 한국과 메콩강 유역 국가(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태국·베트남)의 공동번영을 모색하기 위한 회의로, 이번 회의는 2011년부터 매년 장관급으로 진행된 한·메콩 협의체가 정상급으로 격상돼 열린 첫 회의이다.
문 대통령은 “메콩 지역의 발전은 개발격차를 줄이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면서 “한국은 한·미얀마 우정의 다리 건설사업과 같은 도로, 교량, 철도, 항만 등 인프라 확충을 통해 역내 연계성 강화에 기여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세계는 지금 메콩 국가들의 역동성과 성장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다”면서 “보호주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제성장률로 역내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오늘 정상들은 한·메콩 협력이 성숙해졌고, 제도적으로 더욱 단단해지고 있음을 확인하는 동시에 앞으로 더 협력해야 할 분야가 무궁무진하다는 점도 공유했다”고 말했다.
더불어 “메콩 정상들은 한국의 신남방정책에 대해 적극적인 의지를 표명했고, ‘한·메콩 비전’을 바탕으로 ‘사람 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한·메콩 동반자’ 관계 구축을 위한 발전 방향을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문 대통령과 정상들은 회의에서 양측의 미래협력 방안을 담아 ‘사람·번영·평화의 동반자관계 구축을 위한 한강·메콩강 선언’을 채택했다.
청와대는 7개 우선협력분야를 포함해 분야별 교류강화 방안, 정상회의 주요 성과 등이 문서에 담겼다고 밝혔다. 7개 우선협력분야는 △ 문화·관광 △ 인적자원개발 △ 농업·농촌개발 △ 인프라 △ 정보통신기술(ICT) △ 환경 △ 비전통 안보협력이다.
문 대통령은 “메콩과 한국은 상호 경험을 공유해 공동번영으로 나아갈 것”이라며 “한국 경제발전의 초석인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을 모델로 삼아 메콩 국가에 공공 연구기관을 세우고 공공행정 분야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4차 산업혁명에 함께 대응하는 동시에 교육, 신성장산업 등 분야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바탕으로 한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미래 혁신 인재를 양성하기로 했다”며 “새마을운동을 전파한 농촌 개발사업 등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지속가능한 번영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메콩 국가에 한·메콩 생물다양성 센터를 설립해 풍부한 생물자원을 보존하고 한국수자원공사에 한·메콩 수자원 공동연구센터를 세워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한·메콩 미래 평화공동체 조성사업’으로 메콩 농촌 지역의 지뢰와 불발탄을 제거하고,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농촌 공동체 개발로 지역 주민의 삶이 행복해지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