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비대면 상담 탄력적 운연, 상담내용 농가 적용 23% 늘어
농촌진흥청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현장과 비대면 상담으로 운영한 올해 ‘축산 현장 맞춤형 종합상담’이 농가로부터 좋은 호응을 얻었다고 23일 밝혔다.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축산 농가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농가에 신기술을 보급하기 위해 분야별 전문가와 함께하는 종합상담을 해마다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기존 실내 집합형 상담보다는 개별 현장 상담과 비대면 상담을 도입해 탄력적으로 운영했다.
올해 종합상담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65점으로 전년보다 5.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담 내용을 농장에 직접 적용하는 현업적용도가 4.27점으로 전년 대비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농가에 큰 도움이 된 분야는 질병(39.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우 농가에서 가장 관심이 많은 분야는 번식(30.1%)과 사양관리(25.6%)였으며, 젖소 농가는 사양관리(36.4%)와 질병(22.7%)순으로 관심이 높았다. 양돈 농가는 사양관리(40.0%)와 축산환경(30.0%), 염소 농가는 질병(28.0%)과 풀사료(20.0%)에 대해 가장 많이 상담했다.
종합상담은 지난 5월부터 11월까지 25차례에 걸쳐 한우, 젖소, 돼지, 염소 4개 축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참여자 277명 평균 연령은 53.8세로 지난해보다(55.2세) 1.4세 낮았고, 60대가 29.3%로 가장 많았다. 평균 사육 경력은 16년이었다.
오형규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장은 “코로나19로 기술 지원이 어려운 여건에서도 개별 현장 방문, 비대면 등 탄력적 운영을 통해 축산농가의 높은 호응도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며 “올해 상담 결과를 보완해 내년에도 축산농가 어려움 해결에 더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