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11:11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기고
일반기사

‘비사벌’과 전주

신정일(문화사학자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신정일(문화사학자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신정일(문화사학자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2018년 전주시가 미래유산으로 지정한 곳이 신석정(1907~1974) 시인이 살았던‘비사벌초사’라는 고택이다. 일제와 독재에 항거하면서 <어머니 그 먼 나라를 아십니까> 라는 시를 남긴 신석정 선생이 1954년 전주고에 교편을 잡으면서 정착했던 자택이 비사벌초사다. 신석정 시인은 전주의 옛 지명 ‘비사벌’과 볏짚 등으로 지붕을 인 집을 뜻하는 ‘초사’를 결합해서 비사벌초사라는 이름을 짓고서 살았는데, 그 비사벌이라는 이름이 요즘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오래 전 전주와 창녕 사이에 벌어진 ‘비사벌’ 명칭 논란은 삼국사기에서 비롯되었다.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 ‘진흥왕 조’에 “16년 봄 정월에 완산주를 비사벌에 설치하였다.(置完山州於比斯伐)”며, “전주는 원래 백제의 완산인데, 진흥왕 16년에 주로 만들었고, 26년에 주가 폐지되었다가 신문왕 5년에 다시 완산주를 설치하였다.”고 나와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과  <여지도서> 에도 비슷한 내용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비사벌은 1950~1980년대 옛 전주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되면서 문학 작품들과, 전주 찬가, 그리고 전북대 교지 등에도 상징적으로 쓰였고, 비사벌 아파트, 술 이름 등 크고작은 상표에 두루 쓰였다.

문제는 같은 옛 문헌에 경상도 창녕군의 명칭도 ‘비사벌’로 기록됐다는 점이다. 즉 <신증동국여지승람> 창녕현의 건치연혁과 <여지도서> 에 “본래 신라의 비자화군 또는 비사벌이다”로 나와 있다.  

그렇다면 ‘비사벌’은 전주의 옛 이름일까, 창녕의 옛 이름일까.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 나 <신증동국여지승람> 그리고 1757년에 발간된 <여지도서> 등 여러 가지 고문헌으로 보아서 전주의 옛 이름이기도 하고, 창녕의 엣 이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그러나 고문헌에 비사벌이 전주의 옛 이름처럼 등장하지만, 당시 완산주(전주 옛 이름)와 비사벌의 지리적 위치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그 시기의 비사벌은 경남 창녕지역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의 반론이 있다.

이강래 전남대 교수는 2011에 펴낸 <삼국사기 인식론> 에서‘비사벌(창녕)에 있었던 가야 사람들을 백제의 완산(전주)으로 강제 이주시키면서, 그곳(전주)을 비사벌로 부르는 전통이 생겼다. 이런 전통이 삼국사기 신라본기를 잘못 기술하게 했다’고 분석했다.

단국대의 전덕재 교수는 창녕에 있는 ‘신라 진흥왕 척경비’와 <삼국사기> 를 비교 분석한 뒤, 김부식이 비석을 인용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오류로 파악했다.

하지만 조선 오백 년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저작물인 <신증동국여지승람> 이나 <여지도서> 가 오자를 그대로 둔 채 정부에서 간행했다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 ≪여지도서≫는 읍지 편찬의 역사에서 중요한 진전을 이룬 저작으로, 여지도(輿地圖)와 서(書)를 결합할 정도로 지도가 중시된 것이다. 공시적 기록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는 ≪여지도서≫는 전국에 걸쳐 동일한 시기에 작성된 읍지들로 이루어져 있다. 18세기 중엽의 지방 사회를 전국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설령 비사벌 이름이 창녕의 옛 이름이라 할지라도 전북을 대표하는 시인 신석정 시인의 삶의 편력과 문학의 숨결이 살아 있는 곳이기 때문에 그 이름을 부정해야 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모든 나라마다 지역마다 그 지역의 이름난 작가들의 고택을 문학관으로 활용하고 있으므로 남노송동 일대에서 재개발이 이루어질 때 신석정 시인의 고택인 ‘비사벌초사’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인의 마을, 시인의 정원’이라는 상징성을 부각한다면 의미 있는 개발이 되지 않을까? /신정일(문화사학자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