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거래량 및 소비심리지수 4개월 연속 하락
지난해 1만3058건으로 2020년보다 약 20% 줄어
전주지역 아파트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 전역이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데다 금리 인상의 영향 등으로 부동산 구매심리가 식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7일 전주시 부동산거래조사단에 따르면 지난해 전주지역 아파트 거래량은 1만3058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1만6426건보다 20.5% 감소한 수치다.
부동산거래조사단은 이 같은 거래량 감소추세가 조정대상지역 지정과 함께 위축된 구매심리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전주 전역이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2020년 12월 17일 전후를 비교하면 2020년 12월 2131건이었던 거래량이 불과 한 달 후인 2021년 1월 890건으로 41.7% 급감했다.
이어 지난해 9월까지 월평균 1000~1200건대를 유지하던 전주지역 거래량은 기준금리 인상 등 집값 둔화 분위기가 감지된 지난해 10월 991건으로 하락했으며, 이후 △11월 909건 △12월 694건 △2022년 1월 647건으로 4개월 연속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2022년 1월 전북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1.9로 지난해 9월(143.3)보다 31.4포인트나 떨어졌다. 이 지수는 집값 상승 기대감을 수치화한 것으로 0~200의 숫자로 지수화하며, 통상적으로 95~114 사이 수치는 보합 국면으로 분석한다.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인 전주와 달리 군산과 익산의 경우에는 지난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각각 전년 대비 23.9%(5709건→7708건)와 7.2%(5109건→5480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희곤 전주시 생태도시국장은 “거래량 감소에는 대출 규제, 금리 인상, 집값 급등에 따른 피로감 등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부동산 시장 동향을 면밀히 주의 깊게 살펴 실수요자 보호와 부동산 투기 근절을 위한 노력을 전방위로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