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주간 증시전망] 실적 상향 업종에 관심 필요

시장은 연준의 월 최대 950억 달러 규모의 양적긴축과 한 차례 이상 0.5%p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며 투자자심리를 자극했고 장중한 때 2700포인트선이 무너지기도 했다.

코스피는 전주 대비 1.44% 하락한 2700.39포인트로 거래를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조7632억원과 1조3121억원 순매도하면서 지수를 끌어내렸고 개인은 3조745억원 순매수했다.

지난 6일 공개된 3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은 국채와 주택저당증권 등 보유자산을 줄이는 대차대조표 축소 즉 양적긴축을 더 빠른 속도로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한 번에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여러번 단행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위험 자산 회피심리가 강화되었다.

기존 대차대조표 축소보다 규모가 크다는 점에서 증시는 경계감을 높이고 있지만 이미 시장은 자산매각 규모가 100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예상한 만큼 크게 충격받을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최근 중국 내 코로나19 신규 감염자수 폭증으로 상하이 봉쇄가 장기화되면서 글로벌 공급망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날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정부는 제로 코로나 정책을 지속한다는 방침으로 이로 인해 상하이 인근 내 완성차, 식품, 화장품 등 제조업 공장들의 셧다운이 이어지고 있으며 컨테이너선의 운항지연과 항만정체도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밸류체인의 공급차질이 지속될 경우 국내 기업들의 실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나아가 인플레이션 부담도 가중될 수 있는 상황이다.

지난주 삼성전자의 1분기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음에도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2% 넘게 하락하며 반도체 업황 약해지며 2거래일 저가를 기록한 점도 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코스피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2월 말 이후 2.4% 상향돼 57조1000억원으로 예상되고 있다.

에너지, 보험, 필수소비재, IT하드웨어, 운송의 이익 전망이 상향되었고, 자동차, 화학, 화장품, 의류,디스플레이, 호텔 레저 등은 이익 전망이 하향 조정되었다.

변동성이 클 때는 실적개선 방향이 확실한 분야에 집중해야 될 것으로 보여 실적 상향되는 업종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남원 교차로서 사륜 오토바이와 SUV 충돌⋯90대 노인 숨져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