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지역의 쇠락하는 자동차산업을 살리기 위한 자동차 수출복합센터 건립사업이 터덕거리면서 자칫 표류할 우려가 높다. 정부의 행정절차가 마무리되고 토지 매매계약까지 체결한 상태이지만 새만금 산업단지의 토지이용계획 변경에 발목이 잡혀 사업 진척이 안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허가권을 쥔 새만금개발청과 군산시, 그리고 민간사업자가 토지이용계획 변경 및 자동차 수출복합센터 건립에 머리를 맞대고 조속히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한국GM 군산공장 폐쇄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따라 산업위기 대응지역 활력프로젝트로 지난 2018년부터 추진된 새만금 자동차수출복합센터 건립사업은 1000여 명에 달하는 고용 창출과 연간 228억 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자동차 수출복합센터가 본격 가동되면 군산항의 자동차 수출물동량이 2만 대 이상 늘어나 항만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그러나 한차례 민간사업자 공모에 실패하면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지난해 8월 군산자동차무역센터㈜를 사업시행자로 선정함에 따라 본궤도에 올랐다. 하지만 자동차 수출복합센터가 들어설 새만금 산업단지 5공구 업무용지에 대한 토지이용계획 변경이 늦어지면서 난관에 봉착했다. 현재 산업물류시설 용도를 차량보관소 외 매매·수출업체 및 지원이 가능한 지원 시설 용도로 변경해야 하지만 새만금개발청이 군산시와 한국농어촌공사의 토지이용계획 변경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물론 새만금 산단의 토지이용계획 변경을 위해선 인허가 조건을 충족시켜야 마땅하다. 군산자동차무역센터와 군산시는 중고차 매매업에 치우치는 등 사업 공모 취지를 훼손할 우려가 높다는 새만금개발청의 지적을 먼저 불식시켜야 한다. 자동차 수출복합센터가 당초 조성 목적이나 사업성에 문제가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새만금개발청도 군산 자동차 수출복합센터 건립이 조속히 진행되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어렵사리 성사된 민간사업자가 사업을 제대로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조건과 규정만 내세워서는 군산이 자동차 수출시장의 전진기지로 발돋움할 수 없는 만큼 전향적인 자세로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