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특별한 순간들 시적 정서로 풀어내
장세원 시인이 두 번째 시집 <별을 바라는 동행>(신아출판사)을 문단에 내놨다.
여든을 훌쩍 넘긴 그가 인생에서 여행과 같은 특별한 경험, 기억뿐 아니라 코로나19의 어두운 터널을 지나오며 감내했던 엄혹한 순간들을 시적 정서로 풀어냈다.
“맑은 날 궂은 날 가리지 않고/ 한 생애를 살아오며/ 맡은 소명 다하는 동안/ 무겁게 누적된 과로의 응어리/ 쇠잔한 기력으로 소생하지 못하고/ 예정된 운명의 길을 가고 말았구나// 오호, 통재라/ 폐차장으로 가는 길/ 영원한 영광은 없나보다”(시 ‘폐차장으로 가는 길’ 중에서)
그가 이제 눈 뜨기 시작했다는 시의 세계는 오묘한 미지의 탐험과 같다.
5년 전 시집을 펴낸 후 끊임없이 시 문학에 천착한 시인에게 여전히 고민과 숙제를 안겨주는 것은 창작의 고통이다.
시인은 “조금 더 나은 시를 써보이겠다는 의욕은 있었지만 어디까지나 희망이었고 능력의 한계를 느낀다”면서 “시간의 흐름에 의무감으로 두 번째 시집을 펴내고자 용기를 냈다”고 밝혔다.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인 소재호 전북예총 회장은 평설을 통해 “장세원 시인의 시는 기승전결의 연 구성이 확연하다”며 “건강한 정서와 서정시의 표본이다”고 평했다.
부안 출신인 그는 전북대와 숭실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전주여고 교사, 서해대 교수를 역임했다.
한울문학 시로 등단해 시집 <시간의 소리마디>를 펴냈고 열린시문학회, 전북문협, 부안문협, 신아문예작가회 등에서 작품 활동을 해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