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3:32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환경
자체기사

쓰레기 헤집고 농작물 피해…길조에서 '유해 조수'로 전락한 까치

전북, 까치로 인한 농작물·전력 시설 피해 잇따라
최근 3년간 도내 정전 중 16% 조류가 원인으로 조사

image
쓰레기 봉투를 뒤지고 있는 까치들. 김경수 기자

길조로 여겨지던 까치가 구제 대상이 되면서 공존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전주시 덕진구의 한 도로. 잘 묶어놓은 쓰레기봉투 앞에 내려앉은 까치는 봉투를 부리로 건드리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봉투를 찢은 까치는 안에 들어있던 쓰레기를 헤집더니, 이내 나무 위로 날아갔다.

인근에서 쓰레기와 낙엽을 쓸고 있던 미화원 박모(50대) 씨는 “멀쩡한 쓰레기봉투도 찢어서 헤집어 놓으니 화가 날 때가 많다”고 토로했다.

이렇듯 도시 안에서 완전히 정착한 까치는 농작물과 전선 등에 피해를 발생시키며 원성을 사고 있었다. 

지난 2000년 9월 환경부는 유해야생동물 관련 행정규칙을 개정하며 ‘장기간에 걸쳐 무리를 지어 농작물과 과수, 전주 등 전력 시설에 피해를 주는 까치’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했다. 실제 전북 지역에서도 까치로 인한 농작물 피해와 전력 시설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까치로 인한 농작물 피해는 과거부터 발생해왔다. 정읍시는 까치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다수 발생하자 지난 2020년 농가에 포획 트랩을 지원하는 사업을 펼치기도 했다.

과수원을 운영 중인 김모(60대) 씨는 “까치도 과일을 쪼아 팔 수 없게 만드는 경우를 꽤 봤다”며 “덫이나 그물망을 통해 새들을 막으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고 한숨지었다.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도내 까치로 인한 블루베리, 보리 등 농작물 피해가 꾸준히 보고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원예특작과학원 송장훈 박사는 “우선 방조망과 농촌진흥청에서 연구한 트랩을 통해서 1차적으로 까치 밀도 조절이 가능하다”며 “이후 기피 자재를 활용해 보완하면 까치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각 시‧군 별로 까치 관련 피해 신고가 들어오면 야생동물 피해방지단을 통해 포획하고 있다”며 “농작물 피해 정도에 따라 피해보상금도 지급하고 있으며, 피해 사전 예방을 위해 야생동물 피해 예방시설 설치 지원과 기피제 지원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까치로 인한 전력 시설 피해도 전북 지역에서 다수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지난 3일 오전 9시 25분께 완주군 삼례읍에서 정전이 발생해 800여 세대 규모 아파트와 인근 상가가 불편을 겪었다. 해당 정전의 원인은 까치둥지로 조사됐다.

한국전력공사 전북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2024년) 전북지역에서 발생한 정전 150건 중 24건(16%)가 까치, 까마귀 등 조류 접촉과 조류 둥지로 인한 정전이었다. 이에 한전 전북본부는 매년 3만 5000개 이상의 둥지를 철거하고 까치 포획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단전 피해가 잦은 지역의 전선 지중화, 까치가 둥지를 짓기 어려운 전신주 구조 연구 등을 제언했다.

전북대학교 수의학과 한재익 교수는 “비용이 좀 들더라도 동물을 죽이지 않으면서도 전선 피해를 줄이는 방법은 순천시의 사례처럼 전선을 땅속으로 묻어버리는 것이다”며 “그러나 이는 비용 문제가 커 각 지자체의 재정 상황과 의지에 달려있는 문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한 교수는 “개체수가 심각하게 문제를 일으키는 상황이라면 포획을 진행하되, 동시에 까치 등 조류로 인한 정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라도 우선 전선 지중화를 한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뉴바이올로지학과 이상임 교수는 “까치는 전반적으로 지능과 학습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까치를 놀라게 해 오지 못하게 하는 방법은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효과가 있는 방법을 찾기는 어렵다”며 “전선 지중화가 어려운 경우, 까치가 둥지를 짓기 어려운 전신주 구조를 연구해 설치한다면 장기적으로는 포획보다 훨씬 효율적일 것이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