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7 11:38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교육 chevron_right 대학

[대학] 원광대 치과대학 유용욱 교수 JMF 학술상

원광대 치과대학 유용욱 교수(43·치의학과)가 2008년 JMF (Journal of Medicinal Food) 학술상 수상자로 선정됐다.30일 원광대에따르면 미국 Mary Ann Liebert 출판사와 한국식품영양과학회가 공동 출판하는 국제학술지 JMF는 기존의 항생제로는 치료가 어려운 슈퍼박테리아에 대해 약용으로 사용하는 식물 가운데 황백과 황련의 주성분인 Berberine가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켜 슈퍼박테리아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에 투고한 유 교수를 올해의 학술상 수상자로 최종 선정했다.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식품은 물론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들의 이용과 유용성에 대해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는 학술지로 널리 알려진 JMF는 유 교수가 투고한 논문의 인용횟수가 매우 높아 학술지의 완성도와 질적인 수준을 높인 공로로 학술상 수상자로 선정하게됐다고 밝혔다.유 교수가 투고한 논문은 원광대 치의학과 김강주 교수와 식품영양학과 이영은 교수, 군산대 식품영양학과 유현희 교수 및 차정단, 김해경, 최나영 연구원 등이 공저자로 참여하고 있다.지난 2006년 세계인명사전인 마르퀴스 후스 후와 미국인명정보기관 ABI(American Biographical Institute) 및 영국 캠브리지의 IBC(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er)등 세계 3대 인명사전에 등재된바 있는 유교수는 2007년 영국 IBC가 선정하는 '올해의 의학자'에 선정되기도 했다.또한 유교수는 지난 2000년에는 국제치과연구학회(IADR) 한국지부 학술대회에서 '범호신인학술상'을 수상했고, 2002년 미국에서 열린 IADR 제80회 학술대회에서 학술상을 수상하는 등 연구 성과를 국내외적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는 실력파다.

  • 대학
  • 엄철호
  • 2008.10.31 23:02

[대학] 순창군 지역협력단장에 안국찬 교수

"부족한 저를 순창군 지역협력단장으로 선출해주셔서 고맙고 한편 어깨가 무겁습니다. 장류산업을 중심으로 순창군이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일조하겠습니다."20일 순창군 지역협력단 단장으로 선출된 전북대 안국찬 교수(50)는 "협력단 위원들 중에는 신활력 사업에 일가견이 있는 분들이 많다"면서 "훌륭하신 위원들을 모시고 서포트 역할을 잘 해서 순창군 발전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안 단장은 이어 "단장의 역할에 따라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다를 것으로 생각한다"며 "신활력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그는 또"지역협력단의 활발한 활동을 위해서는 위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좋은 아이디어를 많이 내서 순창군이 추진하는 신활력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위원모두가 서로 협력해 최선을 다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안 교수는 현재 전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신활력 사업 분야 특히 정책분석 및 평가 등에 있어 탁월한 식견을 가졌다는 평이다.안 교수를 비롯한 지역협력단 위원들은 앞으로 순창군의 지역 균형발전 및 혁신사업 전반에 대한 기획, 자문, 컨설팅, 교육지원과 신활력사업,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지역특화발전특구사업, 종합발전계획 수립ㆍ시행 등의 역할을 수행해 나가게 된다.

  • 대학
  • 임남근
  • 2008.10.21 23:02

[대학] 난치병 조기 진단 의약품 개발의 길 활짝

전북대 연구진이 암, 치매, 파킨슨병 등 난치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의약품 개발의 길을 열었다.전북대는 의학전문대학원 핵의학교실 사이클로트론연구소 김동욱 교수 연구팀이 분자영상 진단용 의약품을 고효율로 제조할 수 있는 연구논문을 발표, 화학분야 권위지인 앙게반테 케미 온라인 판에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분자영상기술은 세포 안에서 발생하는 분자 수준의 변화에 동이원소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기존에는 동이원소에 진단용 의약품을 결합시키는게 쉽지 않아 실용화되기에는 한계를 보였다.김 교수팀은 PET (양전자단층촬영) 진단용 의약품 개발에 필수적인 반응인 친핵성 불소화 치환반응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불소공급원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이같은 문제를 해결했다.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로 PET 진단용의약품을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됐다"며 "전북대병원의 사이클로트론이 본격 가동되면 인식용 동위원소를 이용해 다양한 PET용 분자영상화의약품 제조연구에 적용해 다양한 질환을 분자단계에서 조기진단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김동욱 교수는 지난 2006년에도 주저자로 미국화학회지에 게재한 '고효율 PET 진단용 의약품 제조' 연구를 독일계 제약회사에 기술 이전한 적이 있어 이번에 개발된 신기술 역시 산업체 기술이전을 목표로 사이클로트론을 이용한 실용화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대학
  • 임상훈
  • 2008.10.17 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