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군이 ‘경쟁력있는 자치단체 건설’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진안사랑운동에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서 관심을 끌고 있다.
군은 지난해부터 상당한 행정력을 쏟아부으면서 엄청난 추진력으로 범군민운동으로 확산시키려 하고 있다. 이미 천여명의 공무원과 직능단체 임직원,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진안사랑 아카데미’에 입교시켜 연수를 마쳤고 지난 14일에는 대규모의 심포지움을 개최하기도 했다.
이와함께 보기드물게 3백명이내로 구성된 운동본부를 창립, 전 군민 통합에 나서고 있다. 운동본부에는 지역주민 대표와 직능대표들이 참여하며 부군수와 실과소장이 참여하는 행정지원단까지 구성돼 가히 전 군민을 포괄하는 단체가 탄생됐다.
외형적으로 보면 진안군 유사이래 이만한 사회통합을 위한 노력이 있었는지 찾아볼수 없는 대규모이다. 군이 주창하는 ‘내발적 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자랑스러운 모체가 형성된 것이다.
자치시대가 열린이래 이같은 사회통합 모델을 비롯한 지역별 발전 방안들이 다양하게 쏟아져 나오고 실험을 거치는 것은 바람직하다는 여론이다.
아무나 흉내낼수 없는 일련의 시도를 지켜보면서 ‘또다른 의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상당하지만 이 운동이 자생적으로 뿌리내릴수 있도록 군민들은 관심을 보내고 있다. 다만 실생활에 유용한 실천적 운동이 뒷받침되지 못할때 그 역파장이 심각할 것이란 점을 강조하고 싶다.
경쟁력을 일깨우고 지역이 안고있는 숙제가 무엇인지 깊은 천착이 뒤따르지 못하면 군민들의 허탈감을 치유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메세지를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군수가 당연직으로 본부장에 위촉되는것까지는 그렇다 치더라도 지역대표를 읍면장이 추천하고 직능대표를 군에서 선발한다는 운영규정은 이미 자생적이어야할 이 운동의 한계를 보여주는 대목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대섭 (전북일보 진안주재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