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동료의원 봐주기인가.’
24일 군산시의회 행정복지위원회 회의석상.
대다수 상임위원들은 군산시가 제기한 4곳의 무료 공영주차장(월명 및 명산동 등) 조성후보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위해 사업경위를 하나하나 보고받고 점검하고 있다가 황당한 상황을 맞아야 했다.
해당지역 K의원이 2백13평 규모의 주차장 조성의 필요성을 직접 역설했고 다른 의원들은 조용히 경청한 상황이었다.
한의원은 “그곳은 이미 부결됐던 곳이 아니냐”고 문제점이 있음을 제기하는 등 심도있는 사업검토를 하려는 순간, 이곳과 약간 떨어진 곳에 건물을 소유한 또다른 K의원이 나선 것.
그는 선의의 제 3자를 가장, 당위성을 강조하면서 주차장 후보지 조성에 협조해줄 것을 은근히 유도했다.
‘동료의원사업의 방해꾼이냐’아니면 ‘우호세력이냐’로 내몰리면서 많은 의원들은 격조있는 토론보다는 동료의원의 일을 방해하는 사람으로 비쳐지기 싫어 입을 다물어야 했다.
불만의 목소리와 함께 일부 의원들이 퇴장하면서 싱겁게 가결돼 버렸지만 임기를 얼마 안남긴 시의원들의 ‘유종의 미’를 스스로 포기한 회의였다.
문제의 주차장은 이미 2년여동안 2차례나 부결된데다 이들 의원들의 이해와 맞물리는 등 무리가 많은 곳이었다.
임기말로 치닫고 있는 제3대 군산시의회가 최근 시민단체에서 제기한 군산시 참여예산제 조례안을 법리상 문제가 있다며 반대해놓고 많은 예산이 수반되는 사업을 자신의 치적이나 이익챙기기로 흐른다면 이들에게 무슨 말로 해명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게다가 제척사유가 있는 의원들이 패를 잡고 여론몰이에 나서는 일 자체가 많은 시민들의 눈총이나 의회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증폭시키는 일 다름 아님을 기억해야 될 것이다.
군산지방자치 개혁연대 관계자는 “의정활동 말미에 이런 일을 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