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06:12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새벽메아리
일반기사

[새벽메아리] 강원도의 힘

 아무도 강원도를 농도라고 부르지 않는다. 어디 하나 농도라고 부를만한 구석이 없다. 농사에 불리한 낮은 기온, 산간오지, 경사지 밭 등등. 여기에다 군사보호구역, 개발제한지역, 보호림 등 갖가지 제약과 규제가 많다. 이 때문에 무슨 일을 시작하려고 하여도 걸리는 문제가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영호남처럼 대통령이 나온 적도 없었다. 

 그래서 강원도민은 우리 강원도가 영호남에 비해 개발이 늦다는 말을 자주해 왔다. 이런 강원도가 몇 년전 부터 무섭게 변하고 있다.

이래도 전북을 농도라고 부른다

 

'94년 우루과이 라운드 타결 때만해도 강원도는 걱정이 태산 같았다. 농가소득은 전국에서 최하위 수준. 농산물 개방화에 따른 농가 피해액이 예상보다 컸기 때문이다. 이 때 전북의 농가 소득은 중상정도, 피해액은 쌀 관세화 10년 유예 덕분에 가장 적은 수준이었다. 

 강원도가 변하는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민선 2기. 1998년 '농어촌건설운동'의 전개부터이다. 

70년대 펼쳐진 새마을운동같은 관제운동과는 달리 마을 주민이 주체가 되어 마을 발전계획을 만들어 과제를 선정하여 추진하는 운동이다. 말로만 상향식이 아닌 제대로된 자율적인 상향식 방식이다. 

도는 옆에서 지원만 한다. 천억원이나 되는 농어촌진흥기금에서 사업비를 주거나 저리융자로 지원을 한다. 농림사업에도 우선권을 부여하거나 농업경영컨설팅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도 한다. 

이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우수마을 선정시 주는 사업비 5억원. 물론 이 돈은 마을 주민이 알아서 쓴다. 이제까지 15개 마을이 받았다. 자연스럽게 관광과 농업을 연계한 그린투어리즘으로 발전하였다. 

최근 '아름마을'사업을 벌이고 있는 행정자치부도, '녹색농촌체험시범마을'사업을 벌이고 있는 농림부도 강원도에서 한수 배웠다. 올해 농림부는 강원도가 처음 도입한 '밭농사 직불제'에서 또 한 수 배울 것이다. 

일이 잘되면 사람이 모이고 더욱 틀이 잡혀 가는 법이다. 강원도는 벌써 뉴라운드에 대비한 자치농정의 틀을 짰다. 시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친환경농업'을 기반으로 하고, 이 기반위에 '관광농업'이 실현한다. 

그리고 청정지역 이미지 브랜드와 품질브랜드화를 통해 국내외 틈새시장 개척에 주력한다는 것이다. 이와 아울러 '새농어촌건설운동'을 통해 농업인의 자생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작년 통계를 보면 강원도의 호당 농가소득은 전북보다 높다.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년도에 강원의 농가소득은 전북의 90%정도였다. 그러나 이제는 오히려 전북이 강원의 90%에 머무는 역전이 이루어진 것이다. 쌀생산량이 고작해야 김제, 익산 두 곳에서 생산한 것보다 적은 강원도가 전북을 누른 것이다. 

도대체 이런 강원도의 힘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숲이 주는 특유의 느림과 부드러움인가. 옛날 선인들 말씀처럼 궁한 것이 통한 것일까. 

의존하기 보다는 스스로 힘으로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이래 지사가 어떤 생각을 갖느냐에 따라 그 지역이 잘 나가고 못 나가는 것이 결정된다. 강원도가 이처럼 힘을 발휘한 것은 스스로 살 길을 찾아 노력한 결과이다. 이러한 예는 경남 남해군, 전남 함평군에서 보인다. 

이제 우리 전북도 제대로 좀 했으면 좋겠다. 전북에 맞는 농정 틀도 세우고 중앙정부의 농업정책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보다는 전북 농업이 살 길을 찾아 스스로 힘을 찾아냈으면 한다. 전라북도 힘을 발휘하도록 해주는 사람은 바로 전북도지사이다.

 

 

/소순열(전북대 농업경제학과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