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민주당 분위기가 뒤숭숭한 정도를 넘어 흉흉하다.
지난해말부터 민주당 의원 살생부(殺生簿)명단이 인터넷 공간을 통해 떠돌아 다니더니 급기야 언론을 통해서도 그 리스트가 공개되면서 일파만파로 파문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 살생부는 후보단일화를 둘러싼 친노(親盧)진영과 반노(反盧)·비노(非盧)측 의원 94명에 대한 논공행상을 따져 △ 특 1등 공신 △ 1등 공신 △ 2등 공신 △ 3등 공신과 △ 역적 △ 역적 중 역적 △ 판단유보 등 7단계로 분류하고 대선때 의원들의 행적도 간단히 기술하고 있다.
이 문건은 지난해 12월말 ‘노사모’ 사이트에 이어 얼마전 노무현 당선자의 홈페이지에도 게재됐었다. ‘살생부와 공신전’‘블랙리스트’ 등 버전도 다양하다.
살생부 명단을 보면 도내 지역구 의원 10명 가운데 6명은 공신반열에 오른 반면 2명은 역적, 1명은 역적 중 역적으로 분류됐다.
공신으로 분류된 신 주류측 의원들은 대부분 “적절치 않다”“한 개인의 사견일뿐”이라고 일축하면서 당내 파장 확산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반면 역적으로 분류된 구 주류측 의원들은 “해당행위 중 해당행위” “어린애같은 철부지 행위”라며 강한 불쾌감과 함께 분개하고 있다.
이들은 배후에 대한 의구심을 제기하며 당 지도부에 수사의뢰 및 진상규명을 강력 촉구하기도 했다.
파문이 확산되자 당에선 출처조사를 지시했다. 또 부대변인 논평을 통해 “정도와 농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모두 대선 승리를 위해 최선을 다한 만큼 감정을 자제하고 화합과 통합의 정치를 해야한다”며 파문수습에 나섰다.
하지만 블랙리스트가 일부 자의적인 부분도 많지만 살생부에 등장하는 구체적인 사례가 대부분 정확한 것으로 알려져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내년 17대 총선을 앞두고 살생부 명단대로 과연 공천과 낙천 리스트가 될지 관심이 집중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권순택(본사 정치부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