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지역이 유사 이래 최대의 시련기를 맞고 있다.
고창이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후보지에 포함되면서 지역의 미래를 화두로 지역사회가 온통 뒤숭숭한 분위기다.
지난 2000년과 2001년, 고창지역은 방사성폐기물 처리장 설치 문제를 둘러싸고 지역사회가 열병을 앓았다.
2년이 지난 지금, 똑같은 주제를 둘러싸고 그때의 악몽이 재연되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향후 1년간 지질조사와 지역 협의를 시행한후 최종부지를 확정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산자부가 명시한 '향후 1년간'은 고창지역으로선 '분열의 세월'이고 '시련의 세월'일 수밖에 없다.
고창군은 즉각 반대 입장을 표명했고, 군의회도 "지난 3대 의회서 밝힌 반대 입장이 아직도 유효하다”며 의원 간담회를 추진하는 등 부산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사회단체들도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고창군농민회·고창군여성농민회·농업경영인 고창군협의회·대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고창지회·전교조 고창지회 등은 후보지 발표 당일에 대책회의를 갖고 '절대 반대'입장을 재확인하고 세규합에 나서고 있다. 6일엔 버스를 동원해 상경, 환경단체와 전국 4곳 후보지 반대측 인사들과 함께 향후대책을 협의할 예정이다.
반면 관리시설 유치 찬성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고창발전협의회'는 5일 대책회의를 갖고 유치 당위성에 대한 홍보전략을 논의했다.
어수선한 틈새로 근거를 확인할 수 없는 소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누구는 예정부지에 땅을 가지고 있어 유치운동을 벌인다더라.' '누가 누구를 돈으로 매수해 자기편으로 만들었다더라.'
사태를 악화시킨 것은 사업주체인 한국수력원자력 <주> 와 산자부의 구시대적 후보지 선정방식에 있다는 지적이 많다. 이들 기관은 입지선정 과정에서 자치단체를 철저히 배제, 과거의 밀실행정을 방불케 했다. 주>
이같은 사실은 이강수 군수의 말에서 극명하게 확인된다. 이 군수는 "발표 당일인 4일 국무회의가 열리기 15분전에야 산자부로부터 고창이 후보지로 선정되었다는 전화를 받았다”며 "자치단체를 철저히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처사는 지방분권화란 시대적 흐름에 맞지 않는다”며 선정과정에 불쾌감을 표시했다.
방사성폐기물 처리시설은 분명 혐오시설이다. 당국은 '2천9백29억원의 지원금을 주겠다'는 당근책을 설명하는데 몰두하기 보다는, 민심이 어디에 있는지를 읽는데 주력해야 한다.
/김경모(본사 고창주재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