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기장과 실내체육관, 경륜장 처리에 대한 전북도·전주시간 합의는 여러 면에서 이율배반적이다. 정도(正道)가 아니라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인식할 두 단체장들이 진실은 애써 덮어두고 도민 세금을 담보로 곡예를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강현욱지사는 도정은 실험대상이 아니며 강한 경제를 이룩하겠다고 공언해 도민들의 지지를 얻었고, 김완주시장은 명석한 두뇌에 소신과 원칙을 지키는 인물로 시민 기대를 받고 있다. 체육시설을 둘러싼 무상빅딜의 실체가 특히 실망을 자아내는 것은 두 단체장들이 이처럼 신망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6일 오후 두 단체는 도 행정부지사실에서 전혀 예상치 못했던 사안에 합의를 도출했다. 최소한의 여론수렴이나 공론화과정도 없이 기습적으로 이뤄졌다. 한쪽은 일방적으로 주고 한쪽은 일방적으로 받는 것이어서 코미디가 아니냐는 말이 시중에 나돌고 있다.
'언론에는 절대 알려선 안된다'는 밀약까지 내걸었던 이날 합의는 △도 소유의 종합경기장과 실내체육관을 전주시에 무상 양여한다 △전주시 소유의 자전거 경륜장은 도가 20억여원의 도비를 들여 보수하고 소유권은 시가 그대로 유지한다는 것이 골자.
시는 이날 합의 이후 희색이 만면하다. 보수불가 입장을 일관되게 지켜온 골치덩어리 경륜장은 전북도에 떠넘기고 얻을 것은 다 얻었다는 것. 그러나 모든 것을 챙겼다는 합의의 이면에는 세금낭비를 방조한 사실이 숨어 있어 이율배반적이다. 체전 한번을 위해 22억원의 보수비와 연간 5억원의 유지관리비를 투자하는 것은 타당성과 효율성이 없다고 강변해 온 전주시가 아니었던가.
전북도를 놓고 보자. 첨예하게 맞섰던 전주시와 체육회를 1년여동안 중재하며 경륜장 보수불가 정책을 내린 당사자가 난데없이 태도를 바꿔 경륜장 보수를 밀어붙이고 있다. 집단간의 이해를 조율하고 거시적인 안목과 큰 그림을 그리는 것이 광역단체의 할일이 아닌가. 강한 경제의 도정은 사이클 육성을 목표로 삼았는가.
사이클 육성이 절실하면 생산적인 대안은 얼마든 짜낼수 있다. 명분과 실익이 없는 경륜장 보수는 기대를 받고 있는 두 단체장들이 할일이 아니다.
/김현기(본사 사회부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