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르푸 교통영향평가 신청을 앞두고 전주시가 고민에 빠졌다고 한다. 대형유통업체 진출때마다 제기되는 '지역토착시장 붕괴''자본역외유출 심화''지역경제 피폐화 가속'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를 소홀히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시민사회단체들이 이마트 지역법인화를 촉구하는 운동까지 벌이고 있어 여간 난처한 모양이다. 담당부서에 대한 취재 과정에서도 대뜸 "제발, 우리도 안들어오면 좋아요”라고 답변하는 것을 보아도 고민의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전북이마트 지역법인화를 위한 범도민 연대회의가 지난 7일 전주시를 상대로 성명을 냈다. 표면적으로는 까르푸와 롯데백화점과 관련해서 각종 인허가문제를 공명정대하게 처리하라는 것이었지만 내면적으로는 지역에 최대한 이익이 되도록 앞장서 달라는 요구사항이 깔려 있는 것 같다.
연대회의측은 지역이익을 최대한 지키는 입장에서, 지역경제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선에서 엄격하게 추진해 달라고 주장했다. 이마트 사안을 들여다보면 이들의 요구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이마트측도 법인화는 어렵지만 지역에 보탬이 될 수 있는 일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이마트측은 지역에서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제시해 주길 바라고 있다.
인근 광주를 보면 유통업체가 지역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문화행사를 공식 후원하고 지역문화정보지도 만들어낸다. 장학사업을 비롯, 지역사회봉사활동도 다양하게 벌인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말할 것도 없이 파는 만큼 사주는 것. 지역산품을 일정비율 이상 매입해 달라는 것이다. 빗장을 열어줘야 한다면 업체측과 지역주민이 공생하는 공통분모를 하루 빨리 찾아야 하지 않을까.
/은수정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