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단행된 전북도 인사를 둘러싸고 공조직이 술렁거리고 있다. "좋은 자리로 가기 위해서는 도의회나 도의원을 붙잡아야 한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떠돌고 "인사가 장난이냐”는 비아냥도 나오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인사가 발표된지 불과 3∼4시간만에 이를 번복하는 해프닝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불가피한 상황에서 합리적인 판단에 이뤄졌다기 보다는 지극히 개인적인 사정을 앞세워 즉흥적으로 이뤄졌다는 게 많은 공무원들의 생각이다.
전북도는 15일 도의회 최종근 전문위원을 의원면직하고 그 자리에 건설교통국 임병국 건설행정담당을 승진발령하는 내용의 인사를 발표했다. 최씨는 일반직 5급으로 환직해 건설행정담당에 임용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전북도는 곧이어 이를 전면 유보키로 했다. 당초 최종근 전문위원의 전출을 요구했던 도의회가 돌연 태도를 바꿔 의사를 철회했기 때문이다.
전북도의 이같은 인사행태는 행정의 신뢰에 스스로 먹칠했다는 지적과 함께 원칙없이 휩쓸린다는 지적을 받기에 충분하다. 도의회가 전출요구를 철회하려면 인사발표 이전에 했어야 했고, 전북도는 일단 인사를 발표했으면 끝까지 고수했어야 했다. 인사안에 대한 지사의 승인이 결코 가벼운 것일 수는 없다.
자리를 옮기는 것으로 알고 보따리를 쌌던 사람이 이것을 다시 풀때 느끼는 허탈함과 그에 뒤따르는 사기저하를 생각한다면 이번 인사번복은 아무리 뒤집어 보아도 득보다는 실이 훨씬 많다는 생각이다.
사실 전북도와 도의회의 인사문제는 이번만이 아니다. 전북도 인사를 도의회가 좌지우지한다는 것은 공직사회의 공공연한 비밀이다. 심지어는 승진하기 위해서는 특정 도의원을 잡아야 한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도의회가 인사'협의'를 무기로 무리한 인사를 요구해도 전북도가 이를 거의 수용한데 따른 부작용이다.
이같은 인사행태는 공적으로 이뤄져야 할 공무원인사를 사적 차원으로 비하시키고 공조직의 형해화와 행정의 신뢰신추를 부추킨다. 인사가 흔들리면 공조직도 흔들린다. 전북도와 도의회의 성숙한 인사협의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