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방폐장 해법 모색을 위해 정부와 부안 대책위 사이에 두차례 대화가 진행된데 이어 7일 3차 대화가 열릴 예정이지만, 민주당과 열린우리당으로 분열된 전북 정치권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 방폐장 해법찾기가 더욱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특히 정부-주민 대화기구 첫 회의에서 양측이 대화분위기 조성을 위해 성실히 노력키로 한 상황에서도 정치권은 뒷짐만 진 채 방관하고 있어 정치권의 직무유기를 지적하는 주민들이 많다.
전북 정치권의 양대 세력인 민주당과 열린우리당은 방폐장 부안유치문제와 관련, 대안 없이 첨예한 대립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민주당은 방폐장의 부안 유치와 관련, 주민의견 수렴 등에 문제가 있는 만큼 반대한다는 당론을 이미 정해 놓고 있는 상태다.
이 과정에서 J의원 등 일부 정치권은 부안 발전의 대안을 내놓지도 못하면서 정치적 논리로 방폐장 반대에 너무 집착하지 않느냐는 지적도 받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정동영의원 등 도내 소속의원 대부분이 방폐장 유치에 대해 찬성하는 분위기이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부-주민 대화기구를 일단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여당임을 자처하는 열린우리당은 부안주민 촛불시위가 1백일을 넘어서면서 부안경제가 크게 위축되고, 시위 과정에서 16명이 구속되고 2백여명이 부상을 입는 등 ‘민란’이라도 벌어질 만큼 절박한 상황인데도 지나치게 방관적이지 않느냐는 지적이 높다.
재경부안의 한 경제인은 “도내 정치권이 양분되고, 내년 총선이 다가오면서 정치권이 지역현안에 대해 너무 정치적 논리만을 앞세워 대처하는 바람에 주민 갈등만 커지고 있다”며 “정치권이 지역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한 데에서도 정치인들이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지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지역현안에 대해 갈등과 조정역할을 해야 하는 건 정치인의 지극히 당연한 의무라는 점에서 지역출신 정치인들이 해법제시에 무관심하면서 직무유기를 아무렇지도 않은 것처럼 생각하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