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태성 교육문화부 기자
정부의 ‘칼질’에 이미 확보해둔 예산마저 반납할 처지에 놓여있던 무대공연작품 제작지원 사업이 전북도의 발빠른 대처로 반납 위기는 무사히 넘겼다. 가뜩이나 재정이 열악한 지역 문화예술계를 돌아보지 않아도 분명 반가운 소식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이같은 가시적인 성과에도 전북도가 주관하는 공모사업을 바라보는 문화예술계의 시선은 그리 곱지만은 않다. 국회에서 휘둘리는 정부의 갈팡질팡하는 무소신 문화정책도 문제지만, 한해 살림을 결정짓는 각종 문화관련 공모사업이 차일피일 심사가 늦어지면서 사업 차질 등을 우려하는 문화예술계의 볼멘소리가 적지 않아서다.
한 해를 시작하는 문화예술계에서는 일명 ‘빅2’로 통하는 무대공연작품 제작지원사업과 문예진흥기금 지원사업 만한 이슈가 없다. 많은 단체들이 손을 벌리는 사업이기도 하지만, 사활을 내건 비중있는 사업들이 몰리는 까닭이다.
그동안 조기 공모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음에도 이렇다할 변화된 모습은 찾을 수 없다.
전북도는 ‘늑장 심사’에 대한 일부 지적에 대해 ‘대부분 신청 사업이 하반기에 집중돼 있어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지만, 사실상 보조금 지원 여부에 따라 상당수 사업들의 성사 여부가 결정되고 작품이나 공연 준비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이같은 해명은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오히려 심사는 더욱 더디게 진행될 뿐이다.
지난해 말 접수를 마감한 무대공연작품 제작지원사업 심사는 매칭펀드 비율 조정과 신규 시범사업 추진 등 업무 가중의 이유를 들어 예년보다 늦춰졌고, 당초 예정됐던 11일에서 또다시 16일로 연기됐다. 여파는 ‘중복 지원 배제’를 원칙으로 하고 있는 도문예진흥기금 지원사업마저 늦춰놨다.
올해 무대공연작품 제작지원사업에는 지난해보다 14건이 늘어난 63건이 접수됐고, 도문예진흥기금 지원사업도 전년대비 41건이 늘어난 사상 최대치인 413건이 접수됐다. ‘1개단체, 1개사업 지원’이 원칙인 점을 감안하면 도내 웬만한(?) 단체들은 모두 접수한 셈이다. 사업 착수에서 심사, 예산 집행까지 전 과정에 대한 제도 보완을 위한 전면 재검토가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