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04:37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경제칼럼
일반기사

고가 연구장비 공동이용으로 R&D 활성화를

안병수 전북지방중소기업청장

 

해방이후 50년대 까지만 해도 우리 경제는 절대적 빈곤에 허덕이면서 미국의 원조와 하늘만 쳐다보는 농업후진국이었다. 하지만 1962년 제1차 경제개발 계획을 추진한 이래 수출주도형 공업화전략으로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만큼 지속적인 고도성장을 이룩하며 지난해 무역 1조달러 시대를 열었고, 경제규모로도 세계 15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였다.

 

산업이 고도화 되고 웰빙이라는 변화의 바람에 따라 국민들의 의식구조가 개선되어 우리 중소기업에서도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통해 시대와 수요자의 요구에 맞춰 변화해야만 성장할 수 있는 구조가 되었다.

 

기존 제품에만 의지해서는 더 이상 발전은 없고 시장에서 기업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사실이 정석이 된지 오래이다. 이러한 시대상황에 따라 기업에서도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고 연구개발(이하 R&D)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신기술이나 신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아이템 선정에서부터 디자인설계,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성 확보 등 많은 부분이 요구되고 있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제품 개발을 위한 R&D 투자가 여러 가지 이유로 만만치 않다.

 

첫째로, 지방의 경우 연구인력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고 봐도 좋을 것이다. R&D 참여가 가능한 고급인력의 대기업 선호와 지방근무를 꺼려하는 것이 그 이유이다. 몇몇 일선의 경영자들은 고액의 연봉지급에도 불구하고 우수 연구인력 충원이 수월하지 않아 애로를 호소하고 있고, 채용 연구원 교육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즉각적인 R&D 투입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둘째로, 연구개발에 필요한 연구기자재의 부족을 들 수 있다. 중소기업의 경우 자금부족 등으로 생산설비 이외에 자체 연구개발을 위한 고가의 연구장비 구입이 여유롭지 못하다. 따라서, 연구개발 결과물의 성능평가 및 신뢰성 시험의 경우 외부 전문시험기관에 의뢰하고 있는 실정으로 시험 수수료 또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제품의 성능평가나 연구결과물의 신뢰성 시험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는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청에서는 기업의 효율적인 R&D 접근과 고가의 시험연구장비 휴면 방지를 위해 대학 및 연구기관을 주관기관으로 선정하고, 해당 기관의 연구장비 이용시 장비이용료를 지원하는 '연구장비공동이용지원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2007년 전국 27개 주관기관 선정을 시작으로 2012년 현재는 143개의 주관기관을 선정하여 지원하고 있고 전북의 경우 전북대학교 등 10개 기관이 동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장비공동이용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에 필요한 디자인설계, 구조해석, 시험분석, 완성품의 신뢰성 시험 등을 선정된 주관기관의 보유장비를 해당기관의 전문연구원을 통하여 사용하고 사용료는 일종의 쿠폰인 바우처를 통해 지급하는 방식이다. 바우처는 국비(60~70%)와 기업부담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사업참여는 매월 1일에서 7일까지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 go.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며, 신청서 접수 후 참여기업 승인이 완료되면 필요 연구장비가 있는 주관기관과 협의를 통해 장비를 이용하고 기업에서 구매한 바우처로 비용을 지급하면 된다.

 

연구개발 장비가 고가여서 구입이 어렵거나 전문인력 부족으로 연구개발에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이라면 적은 비용으로 고가의 연구장비를 활용할 수 있는 연구장비공동이용지원사업에 참여해 보기를 권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