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활상품 판로 개척·컨설팅 / 희망 아카데미·토론회 운영
“이제는 welfare(복지)가 아닌 workfare 즉, 일하는 사람을 위한 복지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전북광역자활센터도 물고기를 잡아 주는 것이 아닌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알려줄 뿐입니다.”
일(work)과 복지(welfare)의 합성어인 workfare는 일하는 것을 조건으로 공적인 부조를 베푸는 것을 말한다. 저소득층이나 차상위계층 등이 가난에 머무르지 않도록 일자리를 제공해 경제적인 자립을 이끄는 사회복지로 이해할 수 있다.
전북광역자활센터 김영배 센터장(61)은 지난 2008년 3월 보건복지부로 부터 광역자활센터로 지정받은 뒤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전북광역자활센터는 지난 2000년 10월 1일부터 시행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근거해 저소득층 자활 지원을 위한 종합적 탈빈곤 정책 추진 및 광역 단위 자활 지원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김 센터장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시행되기 전에는 지난 1961년 12월 30일에 제정된 생활보호법에 따라 보호를 받았는데, 국가의 재정적인 한계 내에서 복지 정책을 시행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지원이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으로 생활이 어려운 국민에게 필요한 급여를 행해 이들의 최저 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자활 산업의 근간이 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도내에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근거해 총 18개의 지역자활센터가 설립돼 있다. 자활 근로사업은 154개로 일반수급과 조건부수급, 자활특례, 차상위계층 등 1770명이 일하고 있다. 자활 기업은 102개가 설립됐고 이곳에서 모두 642명이 근무하고 있다.
전북광역자활센터는 광역자활기업을 발굴·육성해 지원하고 있다. 이 결과 지난 2010년 5월 광역자활기업 제1호 ‘전북광역로컬푸드’가 문을 열었고 이어 지난 2012년 2월에 청소 공동체 기업인 제2호‘기분좋게만드는사람들’, 지난해 4월에 전북주거복지협동조합인 제3호‘가온’이 출범했다.
또 지난 2009년과 2011년에 자활 생산품 박람회를 개최하면서 자활 생산품의 판로를 개척했다. 이 같은 성과에 힘입어 2012년 10월에는 광역 자활 공동 브랜드인 ‘희망이온’을 개발해 자활 생산품의 품질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희망이온 인증을 받은 제품은 총 22개로 전북광역자활센터는 희망이온 인증 제품의 품질 향상 컨설팅과 마케팅 등을 돕고 있다.
지역특화사업 및 신규 사업 개발의 일환으로 천년 한지 활성화 사업과 친서민형 장례 서비스 사업인 누리보듬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자활 희망 아카데미 운영과 지역자활센터 순회 토론회 등을 열어 사회적 경제 생태계 조성에 힘쓰고 있다.
김 센터장은 “자활 산업은 얼핏 작은 영역으로 보이지만 알고 보면 가장 역동성이 큰 산업”이라며 “저소득층의 창업 및 취업을 지원하고 교육 훈련 사업을 실시하면서 이들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하나씩 성장해 나가는 것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정직’이라는 원리와 원칙에 입각한 자활 기업들이 인정받는 것을 보면서 앞으로도 도민의 삶이 나아질 수 있도록 복지사업을 지속해 나갈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